|
최근 낙마한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에 이어 27일 인사청문회를 앞둔 박한철 헌법재판관 후보자가 로펌에서 고액을 받아 헌법재판관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면서 이른바 고위공직자들의 고질적인 '전관예우'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형 로펌들이 2월 인사철을 맞아 각사별로 적게는 4~5명, 많게는 10여명의 전관 영입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적지 않은 파장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로펌인 김앤장ㆍ화우ㆍ태평양ㆍ광장ㆍ세종 등은 올해 퇴임을 앞둔 대법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 검사장 등을 영입하기 위해 고위 판검사와의 물밑접촉에 나섰다. 일부 대형 로펌들은 연초에 적어도 5~6명의 고위 판검사를 영입한다는 방침을 최근 확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대형 로펌 K사의 경우 2월 중 법원ㆍ검찰의 부장급 이상 10여명 안팎을 영입하기로 했다. 이밖에 다른 메이저 로펌들도 검찰ㆍ법원의 부장급 이상 인사 1~3명의 영입을 사실상 확정했으며 2월 중 퇴임하는 법조계 인사와 올해 차례로 퇴임하게 될 고위 법조계 인사를 추가로 영입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형 로펌 변호사는 "2월 법원의 인사이동에 따라 퇴임하는 유능한 법관을 영입하려는 로펌들의 경쟁이 이미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주요 로펌들은 대법관 및 법원장급 인사를 놓고 치열한 로비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로펌의 한 대표변호사는 "올해는 고위 판검사들의 승진기회가 많아 전관을 다수 영입하는 게 힘들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검찰 고위인사는 물론 법원장급 이하 5~6명 정도는 영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로펌 관계자는 "지난 2~3년간 금융위기의 여파로 전직 판검사들을 비교적 적게 영입한 점을 감안하면 올해는 공격적인 영입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2월 인사에서 사임할 것으로 알려진 고등부장 판사 가운데 2명은 이미 법무법인 양헌과 바른 등에 둥지를 틀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대형 로펌으로 가는 인사가 많아질 수록 전관예우 논란이 생길 수밖에 없지만 로펌 입장에서는 사건수임 등을 위해 전직 고위 판검사 영입에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