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쪽샘지구 고분서 완벽한 갑옷·마구류 첫 출토
![](http://newsimg.sednews.com/2009/06/02/1HTBBBPCFP_1.jpg) | 경주시 황오동 361번지 일대에 밀집한 4~6세기 무렵 신라 지배층 공동묘지인 쪽샘지구의 주곽에서 출토된 마갑의목, 가슴부분과 투구, 목가리개. /사진제공=문화재청 |
|
SetSectionName();
신라 중장기병 1,600년만에 베일 벗다
경주 쪽샘지구 고분서 완벽한 갑옷·마구류 첫 출토
조상인 기자 ccsi@sed.co.kr
경주시 황오동 361번지 일대에 밀집한 4~6세기 무렵 신라 지배층 공동묘지인 쪽샘지구의 주곽에서 출토된 마갑의목, 가슴부분과 투구, 목가리개. /사진제공=문화재청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2','default','260');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서만 어렴풋이 그 모습을 짐작했던 신라의 중장기병(重裝騎兵ㆍ중무장을 하고 말을 타고 싸우는 무사)의 모습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갑옷과 마구류가 처음으로 완벽하게 출토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경주 황오동에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들의 집단묘역으로 알려진 쪽샘지구의 한 고분(C10호묘)에서 중장기병의 말에 착용하는 각종 보호 장구인 마구류(馬具類)와 사람이 착용하는 갑주류(甲冑類) 등 중요 유물을 발굴, 2일 공개했다.
고분은 시신을 매장하는 주곽(主郭)과 고인을 위해 각종 저승용 물품을 넣어주는 부곽(副郭)의 별도 공간으로 구성돼 있었다. 이 중 주곽에서는 말이 착용한 갑옷인 마갑(馬甲)과 무사가 입었던 비늘식 갑옷인 찰갑(札甲)이 발견됐다.
찰갑은 마갑의 몸통부분 위에 가슴가리개인 흉갑(胸甲ㆍ60cm×50cm)과 등가리개 배갑(背甲)을 펼쳐 깔았다. 갑옷의 북쪽에는 84cm 크기의 환두대도(環頭大刀,ㆍ둥근고리자루 긴칼)와 사슴뿔로 손잡이를 만든 작은 칼 녹각병도자(鹿角柄刀子)가 놓여 있었다. 머리맡에는 굽이 높은 잔 고배(高杯)와 목이 긴 항아리 장경호(長頸壺) 등 토기류, 쇠창과 쇠도끼 등의 철기류가 출토됐다. 고배 같은 토기 양식을 통해 무덤 축조 연대는 5세기 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부곽에서는 말 얼굴 가리개인 마주(馬冑)를 비롯해 마구(馬具) 부속품이 다량으로 출토됐다.
이번 출토는 마갑과 마주를 비롯한 마구류 일체 , 찰갑과 그 부속구 일체인 갑옷류가 처음으로 함께 출토된 사례여서 학계는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연구소는 "이번 발굴을 통해 4~5세기 신라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중장기병이 1,600년 만에 그 완전한 실체를 세상에 드러내게 됐다"고 평가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마갑과 관련 부속구들이 단편적으로 소량씩 출토됐었다. 또 갑옷의 경우 큰 철판으로 만든 판갑(板甲)은 종종 출토됐으나 찰갑은 일부만이 출토돼 고구려 고분벽화(안악3호분ㆍ쌍영총ㆍ삼실총ㆍ개마총 등)를 통해 원형을 짐작할 뿐이었다. 이와 관련 문화재청은 "삼국시대 중장기병의 모습을 실물자료를 토대로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