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영국 부동산 정보업체 나이트 프랭크(Knight Frank)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고층빌딩 사무실 임대료는 ㎡(1㎡=10.76제곱피트)당 358달러(약 38만8,000원)로 홍콩, 뉴욕 등 18개 조사 대상 주요도시 중 최저를 기록했다.
‘초고층건물 지수(Skyscraper Index)’ 보고서는 세계적으로 상징성 있는 주요 관문(Gateway) 도시 소재 고층 업무시설의 상층부 임대료를 비교하는 지표이다. ‘고층 업무시설’은 150m 이상 높이 건물의 상부층 30%를 나타낸다. 서울에서는 여의도의 63빌딩과 IFC, 삼성동 무역센터와 아셈타워 정도가 해당된다.
‘임대료 최고’ 도시는 화려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있는 홍콩에게 돌아갔다. 임대료가 작년 하반기 11.3% 급등한 탓에 이번 조사에서 2,696달러(약 293만원·이하 ㎡당 가격)를 기록, 2위인 미국 뉴욕을 압도적으로 따돌렸다. 뉴욕의 고층빌딩 임대료도 지난해 7월에 20% 상승했으나 ㎡당 1,615달러로 홍콩보다 66%가량 싼 편이다.
3위와 4위는 각각 1,334달러와 1,323달러를 기록한 도쿄와 런던에게 돌아갔고, 샌프란시스코(1,044달러)와 싱가포르(1,014달러)가 5위와 6위로 그 뒤를 이었다.
중국 도시로는 상하이가 740달러로 10위, 베이징은 726달러로 11위에 랭크됐다.
서울의 고층 빌딩 임대료가 360달러(평당 약 11만원)로 다른 도시보다 낮게 측정된 이유는 뉴욕, 홍콩 등 임대료가 많이 오른 도시들과 달리, 작년 말에 상당량의 신규 공급이 있었기 때문이다.
나이트 프랭크 코리아의 최유나 부사장은 “서울의 고층빌딩들은 다른 외국 도시들과 달리 저층과 상부층 간 임대료 차이가 10% 대로 적은 데다 세계적으로 내세울 만한 초고층 건물이 없는 점도 임대료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최 부사장은 제2롯데월드와 송도 동북아 트레이드 타워, 상암 DMC 랜드마크타워, 현대자동차 삼성동 한전부지 개발사업 등이 활성화되면 이 지표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