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1월 말 내지 2월 초께 윤곽이 드러날 차기 정부의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의 면면은 박근혜 정부의 성패를 가를 시험대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최소한의 규모로 꾸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의도 정가와 관가는 차기 정부의 국무총리와 장ㆍ차관 인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 당선인의 인사 키워드가 '철저한 보안'과 '깜짝 발탁'인 만큼 인사를 예단하기 쉽지 않지만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다양한 인물들이 하마평이 오르내리고 있다.
◇내각 '대탕평' 원칙하에 전문성 위주로 선발할 듯=대통령직인수위의 인사 작업은 대통령실장과 국무총리 인선 후 국무위원(장관),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은 국회 청문회라는 검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인사를 서둘러야 한다.
새누리당 핵심관계자는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을 감안할 때 정부에서 일할 사람은 능력 위주로 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각 구성의 최대 관심사는 역시 차기 내각의 얼굴인 국무총리다. 총리는 박 당선인이 천명한 '대탕평' 인사의 상징인데다 대선 공약인 '책임총리제'에 따라 상당한 권한을 부여받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당 안팎에서는 안대희 전 대법관, 한광옥 전 민주당 대표, 김종인 전 선거대책위 국민행복추진위원장, 진념 전 부총리,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이 하마평이 오르내리고 있다. 안 전 대법관을 제외하면 모두 호남 출신이다. 그만큼 새 정부의 초대 총리는 호남 출신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는 얘기다.
경제사령탑인 기획재정부 장관에는 김광두 서강대 명예교수가 1순위로 거론된다. 김 교수는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 역할을 한 국가미래연구원을 이끌고 있고 '5인 공부모임' 멤버이기도 하다. '5인 공부모임' 멤버인 김영세 연세대 교수, 신세돈 숙명여대 교수 등도 후보군에 올라 있다. 이 밖에 새누리당의 이한구 원내대표, 안종범ㆍ최경환 의원 등이 거론되지만 현역 의원이라는 점이 걸림돌이다. 감사원장ㆍ국가정보원장ㆍ검찰총장ㆍ국세청장ㆍ경찰청장 등 권력기관 '빅5'는 전원 교체가 점쳐진다. 감사원장에는 안 전 대법관이, 국정원장에는 김장수 전 국방부 장관이 물망에 오른다. 이병기 고문, 인병권 전 국정원 2차장의 기용 가능성도 흘러나온다.
국방부 장관에는 군 출신 예비역 장성과 학자들이 주로 거론된다. 선대위 국방안보추진단장을 맡았던 김 전 장관과 유엔평화유지군 사령관 출신인 황진하 의원, 1군 사령관 출신인 정수성 의원 등이 꼽힌다. 박 당선인의 국방안보 특보인 남재준 전 육군참모총장, 한민구 전 합창의장 등도 후보군이다. 외교통상부 장관에는 윤병세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등 2~3명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청와대는 측근 위주로=청와대 참모는 국정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각 부처의 업무를 조정해 박 당선인의 국정철학을 실현하는 중요한 자리다. 대통령의 심중을 꿰뚫어 손발을 맞춰야 하고 임기를 함께할 수 있어야 하는 특성상 측근들을 발탁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특히 대통령실장ㆍ경제수석ㆍ안보수석 등 청와대 '빅3'의 면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실장에는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을 맡아 선거를 진두지휘한 권영세 전 의원을 비롯해 최경환 의원, 유정복 의원, 최외출 영남대 교수 등이 거론된다. 다만 최 의원과 유 의원은 관례상 지역구 의원직을 내놓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박 당선인의 핵심 정책통인 안종범 의원(비례대표)과 박 당선인의 '복심'으로 통하는 이정현 전 의원은 청와대 입성이 기성사실화돼 있다. 안 의원은 강석훈ㆍ이종훈 의원과 함께 원내에서 '경제 브레인' 3인방으로도 꼽힌다.
이성헌ㆍ김선동ㆍ현기환 전 의원, 권영진ㆍ서장은 전 서울시 부시장 등도 수석 후보군이다.
다만 국정안정을 위해 주요 장관에 학자 출신들이 임명될 경우 청와대 수석은 관료 출신을 앉히거나 그 반대의 방식으로 안분할 가능성도 있다. 경제수석에 기획재정부 1차관 출신인 임종룡 국무총리실장이나 신재윤 재정부 1차관 등이 중용될 것이라는 얘기도 흘러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박 당선인과 가까운 사이로 알려진 김주현 예금보험공사 사장 기용설도 나온다. 외교안보수석에는 박 당선인 특보인 남 전 총장, 한 전 의장 등이 유력하다는 관측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