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의혹이 확산될 경우 2011년 성폭행 혐의로 IMF 총재에서 물러난 도미니크 스트로스칸에 이어 라가르드도 사퇴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사퇴로 이어진다면 IMF의 두 프랑스인 수장이 연달아 조기 사임하는 불명예를 안을 것으로 예상된다.
타임스는 라가르드가 며칠 내로 프랑스 장관들의 부패의혹을 전담하는 공화국사법재판소에 소환돼 정식 수사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라가르드가 재무장관으로 있을 당시 최측근 부하가 지난달 자택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사건과 관련된 대다수의 인물이 이미 수사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스캔들의 발단은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베르나르 타피는 1993년 아디다스를 매각하면서 국영은행인 크레디리요네의 실수로 손실을 입었다며 국가와 소송 중이었다. 당시 재무부 산하 분쟁조정위원회는 정부가 타피 측에 3억8,500만유로를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리고 양측은 이에 합의, 사건은 법정까지 가지 않고 조기에 일단락됐다.
수사당국은 이 과정에서 정부가 막대한 돈을 배상해야 하는데도 라가르드가 직권을 남용해 정식재판으로 가지 않도록 관여했다고 보고 있다. 특히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난달 사법당국이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의 최측근 자택을 압수 수색한 결과 사르코지가 라가르드에게 분쟁을 조기에 종결하기 위해 분쟁조정위원회를 이용하라고 압박한 문건이 발견되면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타피는 사르코지의 후원자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엘리제궁을 18차례나 드나든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라가르드 측 변호사는 공금을 유용해 기업인에게 제공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최근 라가르드 자신도 "내가 타피와 친구가 될 것같이 보이냐"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