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야당은 물론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부자증세 등 과감한 증세를 통해 복지재원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에 일단 제동을 건 것이다.
박 후보는 22일 대선후보로 선출된 후 기자들과 가진 첫 오찬간담회에서 "재정건전성을 무시하면서까지 복지를 확대하는 것에는 반대한다"며 "토목건설ㆍ사회간접자본(SOC) 등 중복예산을 줄이고 지하경제 세원도 투명하게 해 연간 27조원의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복지의 형태와 내용에 대해 "빈곤층에게 돈을 주는 것이 아니라 교육, 취업 프로그램과 연계된 복지정책을 도입할 것"이라며 "복지와 성장이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후보는 국민 5만명이 참여하는 복지 관련기구를 만들어 복지재원 조달방법과 복지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로 했다. 그는 "5만명이 참여하는 기구를 국민행복위원회 산하에 만들어 복지재원과 집행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국회에서 공론화하도록 하겠다"면서 "이는 예산안 수립에 반영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기업 규제와 관련해 박 후보는 "대기업이라도 미래 성장동력 마련, 일자리 창출 등 정상 사업을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전제한 뒤 "하지만 골목상권ㆍ소상공인ㆍ중소기업의 이익을 침해하고 비정규직을 차별하는 등 공정기회를 박탈하는 행위는 규제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대기업의 정상적인 경영활동에 방해가 되는 규제는 풀어야 한다"면서 "하지만 사회적 약자를 억압하는 행동은 규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주택정책과 관련해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며 "주택구입자들이 목돈마련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