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조달청에 따르면 올해 르완다와 요르단에도 나라장터 시스템을 수출한다. 아프리카 르완다의 경우 507만 달러 규모의 나라장터 시스템 수출을 위한 양국간 계약이 체결됐다. KT가 국내 수행사로서 시스템 구축을 담당하게 되며 조달청은 전문가 파견과 자문, 전자조달 정책, 경험 등을 전수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르완다 정부 예산으로 실시되며, 무상원조가 아닌 도입국 정부예산을 활용한 나라장터 수출은 코스타리카에 이어 두 번째다.
중동 지역에서는 요르단이 최초로 나라장터 시스템을 도입한다. 요르단 나라장터 도입사업은 850만불 규모의 무상원조 사업이며 한국국제협력단이 주관하고 조달청이 기술 협력과 전자조달 교육 등을 지원한다.
이 사업을 위해 지난 12일 아흐마드 마샤크베 요르단 물품공급청장을 비롯한 요르단 조달기관 대표단이 조달청을 방문해 김상규 조달청장과 상호 협력방안을 협의하고, 조달청의 전자조달 정책과 나라장터 운영 경험을 전수받았다. 조달청은 요르단의 나라장터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요르단 물품공급청과 전자조달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에티오피아는 나라장터 시스템 도입을 희망하고 있어 조만간 수출계약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에티오피아는 지난 3월 나라장터 도입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조달청에 공식 요청했다. 우간다 역시 전자조달 정책 담당자 연수 교육을 요청하는 등 나라장터 도입에 대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어 수출성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를 낳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