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와 영화계 불황이 깊어지면서 단관 극장의 설자리가 더욱 좁아지고 있다. 대자본과 브랜드 파워를 앞세운 메이저 멀티플렉스의 시장 점유율은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단관 극장은 수익성이 악화돼 존폐의 기로에 서 있는 것. 일각에서는 대형극장의 스크린 독과점 등 부작용이 심화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떨어지는 소형ㆍ단관 극장 시장 점유율 = 극장업계에 따르면 올 1~3분기 소형ㆍ단관 극장들의 시장 점유율(관객기준)은 지난해 30%대에서 25%로 하락했다. 4대 메이저 극장인 CGVㆍ롯데시네마 등을 제외한 소형ㆍ단관 극장은 수도권보다는 지방과 소도시에 입지한 이른바 '나홀로' 극장. 단관 극장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우선 관객수가 지난해 보다 급감했기 때문. 영화업계 분석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 누적 관객 수는 1억1,657만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600만명 가량이 줄었다. 불황기에 대형극장에 비해 감소 폭이 커 우려되는 대목이다. 대형극장은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어 대조를 이뤘다. CGV는 올 1~3분기 시장 점유율 36%를 차지해 지난해 30%를 기록했던 데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2위 업체인 롯데시네마도 올해 시장 점유율(관객기준)이 지난해 10%대에서 20%대로 높아진 것으로 추정됐다. 3~4위인 메가박스와 프리머스도 10% 안팎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다. ◇스크린 독과점 등 부작용 우려 = 불황이지만 메이저 극장은 스크린 확보를 위해 추가로 점포를 오픈하는 등 공격적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CGV와 롯데시네마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3~4개 점포를 추가로 열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메이저 극장이 시장 점유율을 높임에 따라 스크린 독과점 현상 등 부작용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대형극장이 지방 소도시까지 극장을 열며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기 때문. 결과적으로 단관 극장 중 경쟁에서 밀려 파산하는 경우도 나오고 있다. 지난 9월 적자를 면치 못하다가 최종 부도 처리된 단성사 등 서울ㆍ수도권 뿐 아니라 소도시에 위치한 일부 단관 극장 몇 군데도 심각한 자금난으로 부도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단성사와 비슷한 사례가 속출할 것으로 업계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서울 시내 한 극장 대표는 "정부가 대기업에 유리한 정책만 펼치고 있다"며 "영진위가 소형 극장을 위한 자금지원 및 세제혜택 방안 등 좀더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