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열 벽산 관리본부장
올 겨울 기록적인 한파가 이어지면서 냉난방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건축모델인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가 주목받고 있다. 패시브하우스는 난방시 사용되는 에너지가 연간 15킬로와트시(kwh) 를 넘지 않도록 설계돼 주택 난방에너지 사용량이 기존의 10분의1 수준 밖에 안된다. 또 단열성이 좋고 태양광 등 자연에너지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
패시브하우스가 국내에 알려진 것은 약 5년 전이지만 독일 등 유럽 지역에서는 이미 20년 전부터 연구가 이뤄졌다. 패시브하우스는 지난 1991년 독일 정부 지원 속에 다름슈타트(Darmstadt)에 처음 들어선 뒤로 유럽 전역에 빠르게 확산됐다. 특히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는 2009년부터 모든 건물을 패시브하우스 형태로 설계해야만 건축 허가를 내주고 있다. 현재 약 1만여채의 패시브하우스가 보급된 상태다.
최근에는 인천 청라지구 한라비발디단지 노인정 등 국내에도 독일 패시브하우스협회의 인증을 받은 시공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한국 정부도 오는 2017년부터 새로 짓는 주택에 대해 패시브하우스 수준으로 강화된 설계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신축건물 외벽과 지붕ㆍ창 등의 단열기준을 부위별로 약 10~30%씩 강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정책적 지원을 통한 일부 성과들을 제외하고 국내 패시브하우스 건축사업은 아직도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기존 건축물보다 단열ㆍ기밀 자재 관련 비용이 높아 성과가 더욱 저조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패시브하우스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태양광, 지열, 풍력 분야에 정부 보조금이 집중되는 반면 패시브하우스 기술과 관련해서는 어떠한 인센티브나 재정적 지원도 찾아보기 어렵다. 업계 전문가들은 정부와 공공기관부터 앞장서 ‘한국형 패시브하우스’를 확대하기 위한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1회 시공으로 냉난방비를 약 90%까지 절감할 수 있는 패시브하우스 건축사업은 미래 필수불가결한 문화로 자리잡을 수 밖에 없다. 정부 계획대로 2025년까지 100% 주택 에너지 절감 목표를 달성하려면 정부 차원에서 ‘한국형 패시브하우스’의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