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농업이 변화를 꾀하고 있다.
단순한 1차 산업으로는 미래가 없기 때문이다. 생산에서 가공은 물론이고 농업과 농촌자원을 활용한 관광 농업까지 포합하는 6차 산업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에 서울경제는 농진청과 함께 농가 소득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우리의 6차 산업화 실태를 두 차례에 걸쳐 점검해 본다.
우리나라 농업의 6차 산업화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해'블루오션'시장이라 할 수 있다.
6차 산업화는 농업인의 농산물 생산(1차 산업)을 바탕으로 제조ㆍ가공(2차), 판매ㆍ체험ㆍ관광 등 서비스 제공(3차)까지 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말한다. 한마디로 농어촌 자원으로 '돈 되는 농업'을 이루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6차 산업화가 안착될 경우 농가 소득 향상에 따른 삶의 질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우리 농업 인구는 해가 갈수록 감소하고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970년에 우리 농촌 인구는 1,442만 명이었으나 지난 2011년 296만 명으로 대폭 줄었다. 특히 60세 이상 인구는 지난 1970년에 7.9%를 차지했으나 2011년에는 44.1%로 고령화됐다.
농가 소득은 줄었다. 농업소득 비중을 보면 지난 1980년 65.2%에서 2011년 29%로 크게 낮아졌다. 농가와 도시근로자소득비율 격차도 1980년 95.9%에서 2011년 59.1%로 크게 벌어졌다.
하지만 우리 농업이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지역특성에 맞는 특산품 등을 가공해서 판매할 경우 소득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양호 농진청장은"농축산물 생산과 가공·체험관광 등이 연계된'농업의 6차 산업화'로 농업·농촌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농진청은 시장 개방 확대와 고령화 등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농업을 '6차 산업화'를 통해 농가 소득을 창출 시키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농진청은 최근 6차 산업화 TF팀을 꾸려 운영하고 있다.
농진청 차장을 팀장으로 모두 20여명으로 구성된 TF팀을 꾸렸다. TF팀은 총괄지원반, 연구개발반, 사업추진반 등 3개 반으로 운영된다. 이들은 성공적인 6차 산업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세부 로드맵 뿐만 아니라 인력교육과 기술 정보 등 전반적인 지원을 하게 된다. 특히 가공ㆍ상품화ㆍ창업 등을 종합 지원하는 지역 거점 종합지원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농촌의 6차 산업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 내 주민들 간의'협동과 연대'가 중요하다. 농민들은 자본력ㆍ판매력ㆍ기술력ㆍ정보력 등 모든 분야에서 취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으로 소비자를 공략해야 한다. 또 유무형의 지역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특히 무형의 지역자원 활용이 중요하다.
농촌에는 오랜 역사를 통해 전해 내려오는 지역의 특색 있는 전통이나 제조기술 등이 많이 남아 있다. 이를 발굴하고 현대에 맞게 발전시켜 활용한다면 가장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상품이 나올 수 있다.
이병오 강원대 교수는 "농촌의 공동체기능이 산업화 과정에서 많이 훼손됐다"며 "이를 복원시키면 6차 산업화에 커다란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황수철 농정연구센터 소장도 "신뢰를 바탕으로 직매장, 직영대리점, 학교급식 등 다양한 직거래망 확대를 통한 유통구조 혁신이 요구 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