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김태호∙안상수∙김문수(기호순) 후보는 3일 "총선 당시 원내대표 겸 핵심 비상대책위원이었으며 현재 당 대표인 황우여 대표는 4일까지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박(非朴) 후보들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사퇴하지 않을 경우 우리는 중대한 결심을 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특히 "경선참여 여부도 중대 결심에 포함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직 사태가 수습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루 만에 황 대표가 사퇴할 가능성이 낮은 상황이어서 비박 후보들이 실제 경선 보이콧에 나설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이었던 박근혜 후보가 아닌 황 대표의 책임을 요구한 이유에 대해 "(황 대표가) 현재 당 대표고 가장 책임 있는 자리로 (당이) 모든 어려움을 안고 새롭게 태어난다는 각오와 상징성을 포함했다"고 답했다.
비박 후보들은 또 "국민적 의혹이 큰 상황에서 철저한 진상규명과 납득할 만한 조치 없이 경선일정을 강행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며 경선일정 연기를 촉구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오전 조찬회의와 최고위원회의를 잇따라 열어 현기환 전 의원과 현영희 의원을 당 윤리위원회에 회부하기로 결정했다. 이 자리에는 공천헌금 의혹을 받고 있는 현 전 의원과 현 의원이 참석해 최고위원들에게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현 전 의원은 탈당에 대해 "전혀 본질과 다른 정치적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서는 안 된다"며 "입장을 다 밝힐 수는 없으며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현 전 의원은 이날 오후 부산지검에 출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