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해 중소형 유통매장 100곳에 위해식품 판매차단 시스템을 시범 설치하고 2014년까지 1,500개소로 구축 업소를 확대한다고 15일 발표했다. 서울시가 대상업소 선정, 설치비 지원을 맡고 대한상공회의소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위해식품 판매차단시스템이 설치된 계산대는 식품의약품안전청ㆍ환경부ㆍ기술표준원 등이 제공하는 위해식품 정보를 전송 받은 뒤 바코드에 해당 제품이 찍히면 경고 메시지를 띄운다. 이미 매장에 진열된 불량식품이 소비자와 가게 모두 모른 채 팔릴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다.
위해식품 판매차단시스템은 POS단말기(인터넷으로 연결된 판매 시스템) 계산대에만 설치할 수 있다. POS단말기가 설치된 서울시내 중소형 유통매장은 약 3,600곳이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편의점은 지난해 위해식품 판매차단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동네 슈퍼마켓에서 불량식품이 유통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