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아마존도 틱톡 인수 참전… 강제 매각 성사될까
IT2025.04.0307:40:10
매각 기한을 앞둔 틱톡에 아마존과 모바일 광고 플랫폼 앱러빈 등이 인수 제안서를 냈다. 오라클과 블랙록·앤드리슨 호로위츠(a16z) 등 투자사도 틱톡 인수를 타진하는 등 대형 ‘매수자’들이 등장해 틱톡 미국 사업이 중단되는 최악의 결과는 피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아마존이 J.D 밴스 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틱톡 인수에 대한 제안서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NYT는 “아마존이 주목 받는 입찰자로 떠올랐다”면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아마존의 입찰 제안을 진지하게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HBM 깎는 장인' SK하이닉스가 집중하는 세 가지 기술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기업 2025.04.03 08:16:49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 고도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 전력·대역폭·용량 개선을 꼽았다. 이규제 SK하이닉스 부사장은 2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KMEPS 2025 정기학술대회'에서 HBM 기술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이 부사장은 현재 SK하이닉스가 AI의 발전과 HBM 고객사들의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Power) △대역폭(Bandwidth) △용량(Capacity)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HBM은 AI 시대에 각
Biz 플러스
신한은행, 신진 작가 전시전 '2025 신한 영 아티스타 페스타' 개최 [S머니-플러스]
은행 2025.04.03 08:05:00
신한은행은 2일 신진 작가 육성을 위한 전시전인 ‘2025 신한 영 아티스트 페스타-섬광 FLICKER’를 3일부터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시전은 서울 역삼동 신한 갤러리에서 2주간 진행한다. 김지수, 정성진, 정지현, 함성주 등 신진 작가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신한 영 아티스트 페스타는 2003년부터 지금까지 168회 열렸다. 전시회에 참석한 작가들은 295명에 달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신진 작가 지원을 위한 다양
  • 韓 시장 쉽지 않네… 기대보다 적은 인스파이어 첫 매출
    생활 2025.01.13 05:00:00
    지난해 3월 정식 오픈한 모히건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가 한국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매출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2월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 리파이낸싱 작업이 쉽지만은 않을 거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인스파이어는 카지노를 통해 수익을 계속 늘려가겠다는 방침이다. 동북아 최대 복합리조트, 국내 첫 실적은? 인스파이어는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까지 매출 2190억 원, 당기 순손실 2654억 원을 기록했다. 국내 첫 매출로 연간 공연 사업과 7~8개월간의 호텔·카지노 영업이 반영됐다. 앞서 인스
  •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유리기판 연말부터 시생산” [CES 2025]
    산업일반 2025.01.13 00:05:00
    LG이노텍이 신성장 동력으로 낙점한 플립칩그리드어레이(FC-BGA) 양산에 돌입했다. 또 다른 차세대 사업인 유리 기판 역시 올해 말 첫 시생산에 착수하는 등 인공지능(AI) 훈풍을 타고 업역 확장이 본격화하고 있다. 문혁수 LG이노텍 최고경영자(CEO)는 8일(현지 시간)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취재진과 만나 올해 내 북미 반도체 빅테크를 대상으로 한 FC-BGA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FC-BGA는 AI 연산, 고성능컴퓨팅(HPC) 등에 필요한 고
  • 경제 리더들, 2030 청년들에게 "실패 두려워 말고 글로벌 시장 도전하라"
    기업 2025.01.12 18:55:04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경제인들이 최고경영자(CEO)를 꿈꾸는 20~30대 청년 리더들에게 “아직 수많은 기회가 있는 세계시장의 벽을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라”고 조언했다. 9일부터 11일까지 강릉 라카이샌드파인리조트에서 열린 ‘2025 한국경제인협회 리더스 캠프(퓨리캠)’의 토크 콘서트 행사에 참석한 150명의 청년들은 시종일관 눈이 초롱초롱하게 빛났다.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 부회장,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 이주완 메가존클라우드 의장, 모은설 방송작가 등 미디어에서만 봐왔던 한국 경제의 리더들이 총출동해 이들에게 앞으로
  • "젠슨 황 양자컴 발언 의미는…30년 뒤 엔비디아급 기업 나온다는 것"
    IT 2025.01.12 18:01:24
    미국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의 공동 창업자 김정상 듀크대 교수가 “20년이 지나면 엔비디아 같은 시가총액 3조 달러의 양자컴퓨터 기업이 나올 수 있다는 뜻”이라며 긍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아이온큐는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양자컴퓨터 실용화 20년’ 발언 직후 주가가 40% 가량 급락했었다. 10일(현지 시간) 김 교수는 미국 실리콘밸리 레드우드시티에서 열린 한인창업자연합 UKF(United Korean Founders) 2025 행사 기조연설에서 “양자컴퓨팅에 대한 높은 관심에 주가가 석달새 7배나 늘어 발
  • 뜨끈한 어묵·붕어빵…겨울별미 맛집 된 편의점
    생활 2025.01.12 17:58:31
    연일 영하 10도를 웃도는 추운 날씨가 계속되는 가운데 편의점의 붕어빵·군고구마 등 겨울철 간식 매출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길거리 노점상이 줄어든 빈자리를 편의점이 채우며 즉석어묵·호빵 등을 팔기 시작하면서 소비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편의점에서 즉석어묵, 군고구마, 붕어빵 등 동절기 인기 즉석식품을 취급하는 지점 수가 늘어나고 있다. GS25의 경우 붕어빵 판매 매장 수가 2023년 4000곳에서 지난해 5000곳으로 1년만에 약 25% 증가했다. 편의점
  • [단독] 화면 커지고 편리…차세대 효도폰 나온다
    IT 2025.01.12 17:57:46
    SK텔레콤(017670)·KT(030200)·LG유플러스(032640) 등 국내 이동통신 3사가 70대 이상 시니어 세대를 겨냥한 차세대 스마트폰을 선보인다. 고령층이 사용하기 편한 전용 단말기를 이통 3사 전용으로 제공해 저렴한 알뜰폰으로의 이용자 유출을 막고 늘어나고 있는 해당 연령대의 스마트폰 수요에 대응하려는 목적이다. 12일 모바일 업계에 따르면 이통 3사는 각사 온라인몰을 통해 조만간 폴더 형태의 스마트폰인 ‘스타일 폴더2’를 출시한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이달 말, KT는 2월 초를 출시
  • 화제작 쏟아진 OTT…하반기 사용자수 4% '쑥'
    IT 2025.01.12 17:54:18
    크리스마스 등 ‘연말 특수 효과’와 오징어게임 시즌 2등 화제작의 효과로 작년 12월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용자 수가 상승세를 회복했다. 12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의 작년 하반기(6월~12월) OTT 월간 사용자 수(MAU) 상위권에 있는 6곳(유튜브·넷플릭스·웨이브·티빙·쿠팡플레이·디즈니플러스)을 분석한 결과, 12월 6곳의 합산 MAU는 8145만 2164명으로 집계됐다. 6개월 전인 작년 6월 MAU와 비교하면 4.3%(336만
  • "AI 농업시대, 삼성전자·현대모비스와도 협업" [CES2025]
    중기·벤처 2025.01.12 17:46:09
    10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 2025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 마련된 대동의 전시장에 한 관람객이 찾아왔다. 인공지능(AI) 식물 재배기와 다기능 농업 로봇을 꼼꼼히 살펴보던 그는 대동 직원에게 관련 기술과 상용화 시기 등을 상세하게 물었다. 대동 직원이 자세한 정보를 이메일로 보내주겠다며 명함을 요청하자 관람객은 당황한 기색을 보였다. 잠시 머뭇거리던 관람객은 자신이 일본의 글로벌 농기계 회사인 구보다의 미국 대표라고 밝혔다. 글로벌 농기계 업계가 대동이 선
  • 비야디, 관세 8% 中 본사가 부담…韓 시장 뚫는다
    산업일반 2025.01.12 17:44:10
    중국 전기차 회사 비야디(BYD)가 국내에 론칭할 전기차에 부과되는 관세(8%) 전액을 본사에서 부담할 예정이다. 딜러의 마진을 높여 국내 판매를 촉진하고 차량 가격을 낮게 유지하겠다는 전략이다. 한국 시장에 최초 출시할 차종은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인 ‘아토3’로 최종 확정됐다. 12일 관계부처와 업계에 따르면 비야디는 승용 전기차의 판매를 담당할 국내 6개 딜러사에 공급하는 차량 원가에서 수입관세(8%)만큼 할인해주기로 했다. 줄어든 관세의 일부는 딜러사가 판매 마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
  • 롯데免, 업계 첫 다이궁과 거래 전면중단
    기업 2025.01.12 17:40:24
    업계 1위 롯데면세점이 매출 50%를 차지하던 중국인 보따리상(代工·다이궁)과의 거래를 전면 중단했다. 다이궁으로부터 나오는 매출의 30% 이상이 일종의 리베이트인 송객수수료로 빠져나가면서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다. ★관련 기사 2면 12일 면세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말 중국을 비롯한 주요 상업성 대량 구매 거래처에 이달부터 면세품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매출이나 업계 1위 자리를 포기하더라도 수익성을 되살리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대신 롯데면세점 자체나 개별 여행
  • 신동빈 '고강도 쇄신' 촉구에…매출 반토막도 감수
    기업 2025.01.12 17:39:50
    롯데면세점이 매출을 절반 가까이 포기하면서 중국인 보따리상(다이궁)과의 거래를 전면 중단하는 결단을 내린 것은 더 이상 외형 성장을 위해 출혈을 감수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롯데그룹 내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서 만년 적자를 내는 미운 오리가 된 면세점 사업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대수술에 나서는 것이다. 올해 매출은 2조 원대 중반으로 낮아지며 업계 1위에서 내려오겠지만 손실을 줄여 흑자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올해부터 다이궁과의 거래를 전면 중단하는 대신 내국인 관광객과 외국인 개별 관광
  • K라방 띄우는 CJ온스타일 "콘텐츠 IP 50개로"
    생활 2025.01.12 17:39:04
    CJ온스타일은 올해 모바일과 TV 영상 콘텐츠 IP(지적재산권)를 기존 40개에서 50개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유튜브와 틱톡, 인스타그램 등 외부 동영상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는 대형 IP도 적극 육성할 방침이다. CJ온스타일의 TV 간판 프로그램이 모바일 앱이나 외부 채널에 스핀오프(파생) 프로그램으로 활용되거나, 모바일 인기 프로그램이 역으로 TV로 진출할 수 있는 ‘IP 유니버스 확장’이 목표다. 특히 숏폼과 미드폼 등의 예능이나 드라마 등으로 콘텐츠 포맷을 다양화할 방침이다. 포문은 대한민국 대표 뷰티 프로그
  • “中 로봇·바이오 치고 나가…韓, 피지컬 AI 대비 안돼”[CES 2025]
    산업일반 2025.01.12 17:38:41
    10일(현지 시간) 폐막한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를 찾은 국내 기업인들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꺼낸 ‘피지컬(물리적) 인공지능(AI)’이라는 화두에 주목했다. 황 CEO의 발언을 차치하고도 CES 2025 현장에서는 모든 산업군에서 실체 없던 생성형 AI가 물리적 실체로 실현되는 모습이 관측됐다. AI로 ‘게임의 법칙’이 달라지는 와중에 로봇·모빌리티·바이오 등 혁신 산업 영역에서 중국의 대두와 한국의 미흡한 준비에 대한 지적도 곳곳에서 나왔
  • 매출 2190억…인스파이어 첫 성적표 '기대 이하'
    생활 2025.01.12 17:38:36
    지난해 3월 정식 오픈한 모히건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가 한국에서 매출 2190억 원이라는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인스파이어는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까지 매출 2190억 원, 당기 순손실 2654억 원을 기록했다. 실적에는 연간 공연 사업과 7~8개월간의 호텔·카지노 영업이 반영됐다. 공식 개관에 앞서 2023년 11월 멜론뮤직어워드를 개최하는 등 아레나에서 공연 사업을 진행해왔다. 복합리조트는 공사비, 인건비 등의 비용 부담이 큰 만큼 오픈 첫해부터
  • 유통가 '계엄 쇼크' 현실로 이마트 12월 매출 9% 급락
    기업 2025.01.12 17:37:31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여파로 국내 1위 할인점 이마트(139480)의 월간 매출이 전년 대비 9% 가까이 하락하는 등 오프라인 유통사의 실적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마트는 작년 12월 총매출액이 1조 4322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중 작년 7월 이마트와 합병된 슈퍼마켓(에브리데이) 매출액 1196억 원을 제외한 할인점(이마트), 트레이더스, 전문점(노브랜드) 매출액은 1조 3126억 원으로 전년 동기(1조 4393억 원) 대비 8.8%(1267억 원) 감소했다. 특히 본업이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