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건강보험지불혁신추진단' 출범… 수가체계 개선 본격 추진 들어가는 복지부
    '건강보험지불혁신추진단' 출범… 수가체계 개선 본격 추진 들어가는 복지부
    헬스 2025.02.02 07:00:00
    보건복지부가 현행 행위별수가제 중심의 건강보험 지불제도에 대해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는 쪽으로 개편하기 위해 올해 관련 조직을 신설하는 등 움직이고 있다. 현재 의료개혁 일환으로 진행 중인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중 각 병원에 성과급 형태로 지원할 건보 재정에 대한 지표를 만드는 작업이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1일 복지부 등에 따르면 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 산하 과장급 임시조직으로 건보지불제도혁신추진단이 1월 31일자로 신설됐다. 관련 시행령을 보면 추진단은 2027년 말까지 3년간 운영되는 것으로 나오지만
  • "설 연휴 끝나니 더 피곤하네"…주말간 몰아서 자면 안 된다는데, 왜?
    "설 연휴 끝나니 더 피곤하네"…주말간 몰아서 자면 안 된다는데, 왜?
    헬스 2025.02.01 23:11:35
    긴 연휴를 마친 뒤 많은 사람들이 더 큰 피로감과 무기력감을 호소한다. 연휴 내내 이어진 늦잠과 같은 불규칙한 생활, 과식과 음주 등이 생체 리듬을 깨면서 일상으로의 복귀를 저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명절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선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몸을 단계적으로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는 31일 “연휴 후 피로감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연휴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선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통해 생체 리듬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몸을 단계적으로 회복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우
  • 중소 CDMO 쾌거… 바이넥스, 유럽 이어 FDA 품질 인증 성공
    중소 CDMO 쾌거… 바이넥스, 유럽 이어 FDA 품질 인증 성공
    헬스 2025.02.01 08:00:00
    바이넥스(053030)가 셀트리온(068270)의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생산을 위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우수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cGMP) 승인을 획득했다. 국내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중 FDA 허가를 받은 것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동아쏘시오그룹에 이어 네 번째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바이넥스는 FDA로부터 셀트리온의 ‘앱토즈마’ 생산 허가를 받았다. 앱토즈마는 로슈가 판매 중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악템라의 바이오시밀러다. FDA 조사관은 지난해 6월 바이넥스의
  • “출근하기 겁나” 긴 연휴 끝 찾아온 무기력… 일상 복귀 처방전[헬시타임]
    “출근하기 겁나” 긴 연휴 끝 찾아온 무기력… 일상 복귀 처방전[헬시타임]
    헬스 2025.02.01 07:00:00
    "눈 깜짝할 새 6일이 지나가 버렸다. 내 연휴 돌려줘. " 6일에 이르는 긴 설 명절이 끝나자 '연휴병'을 호소하는 직장인들이 적지 않다. 주위를 돌아보면 설 연휴 전날(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돼 모처럼 긴 휴식기간이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피로감과 무기력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긴 명절 연휴가 끝나고 난 뒤 신체 구조의 이상과 통증으로 인한 기능저하를 호소하거나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의욕상실, 무기력감 등을 느끼는 일련의 증상을 ‘명절증후군’ 또는 '연휴증후군&ap
  • "상한 명절음식 절대 먹지 마세요"…긴 설연휴에 '이 바이러스' 주의보
    "상한 명절음식 절대 먹지 마세요"…긴 설연휴에 '이 바이러스' 주의보
    헬스 2025.01.31 20:50:28
    겨울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가 2월까지 유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3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월 3주차(12∼18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388명으로 전주(372명)보다 4.3% 증가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주당 환자 수는 지난해 11월 마지막 주인 11월 24일부터 30일까지 80명에서 이후 114명 , 142명, 248명, 291명, 369명, 372명, 388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어패류 등 음식물을 섭취하다가 감염되기 쉬우며 상한 명절 음식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는
  • 삼성바이오에피스, 미국서 아일리아 시밀러 항소심 패소
    삼성바이오에피스, 미국서 아일리아 시밀러 항소심 패소
    헬스 2025.01.31 17:56:01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미국 출시에 제동이 걸렸다. 원개발사인 리제네론이 제기한 판매금지 가처분 소송 항소심에서도 패소하면서다. 아일리아는 황반변성 등에 쓰이는 안과 질환 치료제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은 리제네론이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상대로 제기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판매 금지 가처분 신청 관련 항소심에서 리제네론 측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북부지방법원의 판결을 지지하며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특허 무효 소송을 기각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인 ‘오퓨비즈’의
  • 사우디 가는 대웅제약 '나보타'…K톡신 빅3 '중동 러시'
    사우디 가는 대웅제약 '나보타'…K톡신 빅3 '중동 러시'
    헬스 2025.01.31 17:15:40
    국내 보툴리눔 톡신 업체들이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동은 미용 의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향후 보툴리눔 톡신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대웅제약은 31일 중동 최대 보툴리눔 톡신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 ‘나보타’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인구 약 3700만 명의 중동 국가로 UAE, 쿠웨이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등 걸프협력회의(GCC) 국가 중 경제 규모가 가장 크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사우디아라비아는 문화 개방 이후
  • “병원 안가도 돼요” 솔닥-테라젠헬스, 국내 첫 비대면 유전자검사 론칭
    “병원 안가도 돼요” 솔닥-테라젠헬스, 국내 첫 비대면 유전자검사 론칭
    헬스 2025.01.31 16:21:16
    비대면진료 업체 솔닥은 테라젠헬스와 함께 국내 첫 비대면 유전자검사 서비스 ‘헬로진’을 론칭한다고 31일 밝혔다. 테라젠헬스의 헬로진 4.0 서비스는 15개 대학병원 의료진들과 공동 연구를 통해 2010년 아시아 최초로 런칭한 질병예측 유전자 검사다. 이번 협력은 온라인 공간에서 원격의료 기술을 접목해 유전자 검사 의뢰부터 결과지 확인, 의료진의 소견 등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데 방점을 둔다. 고객이 스마트폰의 솔닥 앱을 통해 헬로진4.0 서비스를 신청하고 의료진 승인을 받으면 병원 방문 없이 집에서 간편히 검사를 받고 결과를 확인
  • ‘신생아 중환자 치료 명의’ 김창렬 교수, 의정부을지대병원 합류
    ‘신생아 중환자 치료 명의’ 김창렬 교수, 의정부을지대병원 합류
    헬스 2025.01.31 10:32:22
    의정부을지대병원은 신생아 응급질환 및 중환자 치료 분야의 권위자인 김창렬 교수(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영입했다고 31일 밝혔다. 김 교수는 내달 1일부터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시작할 예정이다. 김 교수는 한양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울대어린이병원 신생아학 전임의를 거쳐 미국 브라운대학 로드아일랜드 모자병원에서 신생아학, 주산의학 전임의 및 임상강사로 근무했다. 작년 7월 한양대구리병원에서 정년 퇴임할 때까지 한양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 겸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장, 대한신생아학히 회장 등을
  • 이엔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개발사 싱귤래리티바이오텍과 MOU
    이엔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개발사 싱귤래리티바이오텍과 MOU
    헬스 2025.01.31 09:54:35
    이엔셀(456070)은 유전성 망막질환치료제 개발사인 싱귤래리티바이오텍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유전성 망막질환은 유전자에 문제가 생겨 유소년 시기부터 야맹증, 터널 시야 등 증상을 겪는 희귀질환으로, 일부는 실명으로 이어진다. 현재까지 실명 원인으로 알려진 유전자만 330여가지가 넘는다. 국내 환자는 약 1만 5000명에서 2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엔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세포와 바이러스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글로벌 수준의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시설을 갖췄다. 원스톱 서비스와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 미국 품목허가 승인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 미국 품목허가 승인
    헬스 2025.01.31 09:40:03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악템라’의 바이오시밀러 ‘앱토즈마(CT-P47)’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 앱토즈마는 류마티스 관절염, 거대세포 동맥염, 전신형 소아특별성관절염, 다관절형 소아특별성관절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등 주요 적응증을 확보했다. 오리지널 의약품이 피하주사(SC)와 정맥주사(IV) 두가지 제형으로 출시된 것처럼 앱토즈마도 두가지 제형으로 모두 승인 받았다. 악템라는 체내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인터루킨(IL)-6 단백질을 억제해 염증을 감소시키는 인터루킨 억제제
  • 대웅제약 나보타, 사우디아라비아 출시
    대웅제약 나보타, 사우디아라비아 출시
    헬스 2025.01.31 09:33:39
    대웅제약은 중동 최대 보툴리눔 톡신 시장 사우디아라비아에 나보타를 정식 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는 국가로 글로벌 조사 기관 어스튜트 애널리티카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미용·성형 시장은 2023년 78억 9900만 달러에서 2032년 187억 7800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웅제약은 이번 출시가 중동 시장 선점에 중요한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점유율 1위인 애브비 보톡스와 동일한 분자 구조(900kDa)를 가지고
  • 韓, FDA 신약 허가 한중일 중 꼴찌… R&D 투자도 밀려
    韓, FDA 신약 허가 한중일 중 꼴찌… R&D 투자도 밀려
    헬스 2025.01.31 06:00:00
    한국이 한국·중국·일본 3개국 중 최근 3년간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약 허가 실적에서 가장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계속되는 가운데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신약 개발 현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연구개발(R&D) 비용에서도 중국에 크게 밀리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제약·바이오 업계의 R&D 확대를 위해 각사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30일 서울경제신문이 최근 3년간(2022~2024년) FDA 신약 허가 현황을 분석한 결과
  • 美 보스턴 지사에 힘싣는 제약사…오픈 이노베이션 강화 전략
    美 보스턴 지사에 힘싣는 제약사…오픈 이노베이션 강화 전략
    헬스 2025.01.30 18:37:41
    국내 제약사들이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연구개발(R&D) 거점에 힘을 싣고 있다. 유한양행(000100)이 보스턴 근교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제노스코에서 폐암 신약 ‘렉라자’를 도입해 국산 항암제 최초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라는 성과를 낸 것처럼 유망 기업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069620)은 최근 메릴랜드주 락빌 소재 연구소(Daewoong America inc)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 이 연구소는 대웅제약이 중국·인도에 이어 세 번째로 세운
  • 주지현 입셀 대표 “줄기세포로 우주에서 인공혈액 제조 도전”
    주지현 입셀 대표 “줄기세포로 우주에서 인공혈액 제조 도전”
    헬스 2025.01.30 18:36:17
    “현재 1억 원 수준인 인공혈액 가격을 절반 이하 수준으로 줄이는 게 목표입니다.” 주지현(사진) 입셀 대표는 30일 서울 서초구 입셀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를 갖고 “우주 환경은 단백질 생성이라든지 줄기세포의 배양의 효율이 좋아 인공혈액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입셀은 주 대표가 2016년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로 활동하면서 창업한 인체유래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기반 세포치료제 및 플랫폼 개발 기업이다. 주 대표와 조병식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교수, 임예리 가톨릭대 의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