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대표 생태계 보물창고인 곶자왈이 무단투기로 인해 쓰레기장으로 전락했다.
28일 사단법인 곶자왈사람들은 '2025 곶자왈 무단투기 조사 결과 공유회'를 열고 최근 6개월간 진행된 자체 모니터링 결과를 공개했다. 단체는 "2018년부터 매달 1회 곶자왈 내 불법 훼손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무단투기 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올해 7월부터 이번 달까지 총 21회에 걸쳐 진행됐으며, 조사 대상은 △조천읍 △구좌읍 △성산읍 △애월읍 △대정읍 △한림읍 △안덕면 △한경면 일대 곶자왈 지역이다.
조사 결과 곶자왈 내 임도와 소나무재선충 방제 작업로, 도로 인근 함몰지 및 농로 주변 등에서 무단투기가 집중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차량 접근이 비교적 쉽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현장에서 확인된 폐기물은 △매트리스, 냉장고, 세탁기, 소파 등 생활폐기물 △폐창호, 파이프, 폐목재, 스티로폼 등 건축폐기물 △폐타이어 △농약병, 농업용 비닐, 부패 농산물 등 농업폐기물 △각종 음료병 등으로 매우 다양했다.
일부 폐기물은 오랜 기간 방치돼 그 위로 식물이 자라고, 고인 빗물이 썩는 등 2차 오염 우려까지 확인된 사례도 있다. 특히, 무단투기 경고 안내판이 설치돼 있음에도 버젓이 안내판 아래에 무단투기가 자행되는 현장도 확인됐다. 단체는 행정의 관리 부실도 무단투기 문제를 부추기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공유회 참석자들은 무단투기 근절을 위한 대책으로 △법적 처벌 강화 △상습 투기 지역 폐쇄회로(CC)TV 설치 △마을 청년회 등과 연계한 감시단 운영 △제주도 차원의 종합 대책 수립 △관련 행정기관의 관리·감독 강화 등을 제안했다.
곶자왈은 과거엔 쓸모없는 땅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지하수 함양 기능과 생물종 보전 가치가 조명되며 재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개발로 이미 곶자왈의 30% 이상이 훼손된 것으로 나타나 보전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jna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