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가장 몸값 비싼 군용기 순위는…B-2 ‘스피릿’ 대당 3조원[이현호의 밀리터리!톡]

B-2 ‘스피릿’, 에어포스원 ‘VC-25B’, 차세대 폭격기 ‘B-21’

최강 전투기 ‘F-22’, 블랙버드 ‘SR-71’ 정찰기 순으로 비싸

5년 전 몸값 평가는 B-2, F-22, C-17, P-8A 순서 1-4위

B-2 스텔스 폭격기가 공중급유 받는 모습. 사진 제공=미 공군사진 제공=미 공군




군용 항공기가 등장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쳐 최근 현대 전장의 승패를 결정 짓는 무기체계는 공중전력이다. 공중전력 무기체계는 전투기와 공격기, 전자전기, 폭격기 등과 같은 전투용 항공기 및 정찰기와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수송기, 급유기, 헬리콥터 등과 같은 비전투용 항공기 등으로 나뉜다.

천조국 미국을 선두로 러시아, 중국, 유럽 등의 방산업체들이 지금까지 생산한 군용 항공기의 종류는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우리나라도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를 개발해 미국·러시아·유럽 등에 이어 세계 8번째로 초음속 전투기를 독자 개발한 국가로 우뚝 섰다.

항공기에 탑재된 무기로 적의 시설과 항공기, 전차 등과 같은 장비를 파괴하는 전투용 항공기로는 B-29, P-51, F-86, F-4, F-15, F-22, B-1B, B-2B, 유로파이터, MIG-19, MIG 29, SU-30 등이 있다. 수송과 정찰, 급유 등의 지원 역할을 하는 비전투용 항공기로는 C-45, C-123, C-130, C-17, A400M, CN-235, S-2, P-8, P-3 오리온, A330MRTT, KC-46A, B-737 피스아이 등이 있다.

이들 전투용과 비전투용 항공기 가운데 가장 몸값이 비싼 군용 항공기는 무엇일까.

현대 전쟁에서 항공기의 중요도가 커지면서 세계 각국이 공중우세 및 최강의 전투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첨단 항공기 생산 경쟁을 벌이면서 첨단 스텔스 기능과 함께 뛰어난 기동력, 데이터 융합 기술 등이 접목되면서 각 항공기의 생산비용도 급상승하고 있다.

미국의 군사전문매체인 ‘더 내셔널 인터레스트’가 최근 미 공군의 스텔스 전략폭격기 B-2 ‘스피릿’이 역사상 가장 비싼 군용기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미 공군이 공개한 VC-25B 디자인 모습. 사진 제공=미 공군


두 번째로 비싼 군용기는 미국 대통령 전용기로 콜사인이 ‘에어포스 원’인 보잉 747-200B를 기반으로 제작하고 있는 ‘VC-25B’로 19억 달러(약 2조 7900억 원)였다. 1990년 출시된 이 항공기는 보잉 747-8 플랫폼을 기반으로 단 2대가 제작됐다.

첨단 암호통신과 방어 체계, 의료 시설, 공중 급유 등 최고 수준의 안전 및 보안·통신 기능을 갖춘 세계 최고급 비행기다. 미사일 탐지, 적외선 방해 장치, 전자전 시스템 등 각종 보안 설비를 구축했다. 이 덕분에 핵전쟁 같은 상황에서도 공중 지휘센터로 대통령이 국정을 지휘할 수 있는 ‘날아다니는 백악관’ 역할을 한다.

미 공군은 2027년 첫 번째 전용기를 2028년 두 번째 전용기를 인도 받을 계획이다. 그때까지는 기존 VC-25A를 계속 운영할 방침이다.

세 번째는 현재 미국이 B-2 폭격기의 뒤를 이을 차세대 전략폭격기 B-21 ‘레이더’다. 1대당 비용은 7억 5000만~8억 달러(약 1조1000억 원~1조1700억 원)로 추정된다. 2027년 출시 예정인 이 폭격기는 현재 시제품으로 3대 제작됐다. 스텔스 기능을 구비했고 최고 속도는 마하 0.8, 무기 적재량은 9.1t에 달한다. 핵 공격과 재래식 공격 임무를 모두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네 번째는 세계 최강의 전투기로 알려진 F-22 랩터다. 1대당 가격은 3억 5000만 달러(약 5100억 원)다. 지난 2005년에 처음 출시돼 모두 195대(시제기 8대 포함) 제작됐다. 대상 가격이 비싼 이유로 지난 2012년 생산이 종료됐다. 다섯 번째는 지난 1966년 처음 출시됐지만 현재는 폐기된 정찰기인 SR-71 ‘블랙버드’다.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1대당 가격은 2억 7000만 달러(약 4000억 원)로 평가됐다.

미 공군의 차세대 스텔스 전략폭격기 ‘B-21 레이더’ 시험비행 모습. 사진 제공=미 공군


미 공군 소속 스텔스 전투기 F-22 ‘랩터’가 공중전 훈련을 위해 고고도로 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미 공군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시에라 네바다 산맥을 비행하고 있는 SR-71B ‘블랙버드’. 사진 제공=미 공군


SR-71 블랙버드는 마하 3 이상의 비행속도를 견딜 수 있도록 티타늄 소재로 제작됐다. 고동 8만ft(2만4000m) 이상의 고도에서 정찰 활동을 할 수 있다. 지대공 미사일을 추월할 만큼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뒤이어 보잉 737-700 기종을 기반으로 해 제작된 조기경보기인 NE-7A ‘웨지테일’(최대 2억 5000만 달러·약 3700억 원 ), 조기경보기인 E-2D ‘어드밴스드 호크아이’(2억 2000만 달러·약 3200억 원), 세계 최강의 해상초계기인 P-8A ‘포세이돈’(2억 달러·약 2900억 원), 유럽 4개국 합작품인 유로파이터 ‘타이푼’(최대 2억 달러·약 2900억 원) 등이 6~9위를 차지했다.

마지막 10위는 미국과 영국이 공동 설계한 F-35 ‘라이트닝II ’(최대 1억3000만 달러·약 1900억원)로 집계됐다. 일반형·함재형·수직/단거리 이착륙형 등 3가지 버전으로 출시된 F-35 전투기는 올해까지 모두 1000 대 이상 생산돼 세계에서 가장 많이 만들어진 5세대 전투기다. 최고 속도가 마하 1.6, 항속거리는 2222㎞에 달한다.

참고로 5년 전인 2020년에 발표된 가장 비싼 몸값을 가진 군용 항공기 1위는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였다. 대당 가격은 21억 달러다. 두 번째로 비싼 몸값을 가진 항공기는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중에 가장 강력한 전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 받는 F-22 ‘랩터’가 꼽혔다. 대당 가격은 3억 4000만 달러다.

세 번째로 값비싼 군용 항공기는 의외로 미군의 특급 배송을 책임지는 보잉 C-17 ‘글로브마스터’ 전략전술 수송기였다. 총 생산대수는 297대로 당시 대당 가격은 3억 2800만 달러로 평가됐다. 네 번째는 우리 해군도 도입한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으로 대당 가격은 2억 9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