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수도권 아파트값이 빠르게 치솟으면서 올해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부담이 강남권을 중심으로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역시 주요 단지들이 신고가를 경신한 영향으로 내년에도 세금 압박은 더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기획재정부와 국세청 집계에 따르면 올해 주택분 종부세 부과 대상자는 약 54만 명으로 전년보다 8만 명 늘었다. 증가율은 17.3%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며 종부세 대상자가 크게 불어난 셈이다. 부과된 종부세 총액도 1조 7000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000억 원가량 더 많아졌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증가 폭이 가장 가팔랐다. 서울의 종부세 과세 인원은 32만 800명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21% 늘었고,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서울 전체 종부세 고지액은 8253억 원이며 이는 전년보다 17.6% 증가한 수치로 전국 평균 증가율(6.3%)을 압도했다.
특히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서초구 반포동 일대가 세금 부담 증가의 핵심 지역으로 꼽힌다. 부동산 세금 계산 서비스 ‘셀리몬’ 분석에 따르면 전용 84㎡ 기준 아크로리버파크 1세대 1주택자의 종부세는 작년 418만 7000원에서 올해 726만 2000원으로 300만 원 넘게 늘었다. 증가율은 73.4%에 달한다.
올해 처음 공시가격이 발표된 원베일리 84㎡의 종부세 추정액은 983만 9000원에 이르며 재산세까지 합치면 보유세 부담만 1800만 원에 접근한다. 래미안퍼스티지(469만 5000원), 반포자이(457만 원)도 전년 대비 각각 85.3%, 64.9% 늘었다.
강남구와 송파구 주요 단지들 역시 세금 상승을 피하지 못했다. 은마아파트 84㎡는 작년 대비 65% 이상 증가한 212만 9000원이 부과될 것으로 추정됐고, 도곡렉슬 역시 146만 원대에서 240만 원 수준으로 뛰었다. 대단지 신축 아파트인 헬리오시티의 종부세는 15만 7000원에서 60만 원으로 280% 넘게 급증했다. 용산 이촌동 한가람아파트의 종부세도 3만 5000원에서 28만 3000원으로 무려 700% 이상 증가했다.
종부세 계산의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은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4월에 공시된다. 여기에 공정시장가액비율 60%가 적용된다. 올해 공시가격 상승률을 반영해 내년 세부담을 예상하면 아크로리버파크 84㎡의 종부세는 1262만 4000원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불과 1년 만에 70% 이상 더 부담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