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17.8%나 확대되면서 출생아 수가 3만명 이상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원석 파이터치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4일 발표한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16개국의 2008~2020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1% 증가할 때 출산율은 0.005명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수치를 우리나라 최근 10년간 임금 격차 변화에 적용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국내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는 2015~2024년 사이 17.8% 증가했다. 국가데이터처 기준 2015년 출산율이 1.24명, 출생아 수가 43만8420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임금 격차 증가로 출산율은 1.24명에서 1.15명으로 0.09명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출생아 약 3만1467명이 줄어든 것과 맞먹는 규모다.
임금 격차와 출산율 간 관계는 통계적으로도 뚜렷했다.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는 2011년 185만 원에서 2024년 258만 원까지 증가한 반면, 출산율은 같은 기간 1.24명에서 0.75명으로 크게 떨어졌다. 두 지표의 상관계수는 -80%로, 임금 격차가 커질수록 출산율이 줄어드는 강한 반비례 관계가 확인됐다.
한원석 연구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확대될수록 출산율이 떨어지는 만큼, 중소기업 근로자의 양육 부담을 덜고 급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파이터치연구원은 기획재정부 감독을 받는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경제정책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newsuyeo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