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급식과 돌봄 업무를 맡은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올해도 총파업을 결정했다. 교육 당국과 근로자들의 임금 교섭이 타결되지 않아 학생들이 급식차질 피해를 입을 상황이 7년째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18일 총파업 계획을 밝혔다. 3개 노조 조합원은 약 10만 명이다. 연대회의는 약 10만 명 조합원 중 약 4만 명이 총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총파업 참여 목표 인원은 지난해 총파업 인원 2만 6000여명보다 약 85%로 늘어난 규모다.
총파업은 권역 별로 나눠 총 4일에 걸쳐 이뤄진다. 이달 20일에는 서울을 비롯해 인천, 강원, 세종, 충북에서, 21일에는 광주, 전남, 전북, 제주에서 총파업이 결정됐다. 내달 4일에는 경기, 대전, 충남에서, 같은 달 5일에는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울산에서 총파업이 이뤄진다.
연대회의와 교육 당국은 8월부터 8차례 임금 교섭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연대회의는 지난달 말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걸쳐 합법적인 파업권을 얻었다. 연대회의는 임금인상뿐만 아니라 임금체계 개편, 비정규직 차별 해소, 급식업무 환경개선 등을 교육 당국에 요구해왔다. 연대회의는 “교육 당국은 마지막 교섭에서도 (조합원들의) 저임금 구조를 개선할 의지가 보이지 않는 수정안을 제출했다”며 “교육부와 교육감이 책임을 계속 회피한다면 연내 교섭 타결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연대회의는 총파업 기간 중에도 교육 당국과 교섭을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올해도 총파업이 이뤄지면 상당수 학생들은 총파업 기간 급식 대신 빵과 음료와 같은 대체식을 먹어야 한다. 작년 전국 단위 하루 총파업으로 전국 학교의 약 30%인 3910개 학교는 급식 차질을 빚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올해도 총파업에 대비한 학교별 급식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ggm11@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