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8일 만에 매몰자 수습이 마무리되면서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수사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잇달아 철저한 수사와 명확한 원인 규명을 언급한 만큼 강도 높은 수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국민 모두의 간절한 바람에도 매몰됐던 노동자 일곱 분 모두 차디찬 주검으로 가족의 품에 돌아왔다. 가슴이 미어진다”며 “국민 안전의 최종 책임자로서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사고는 6일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화력발전소에서 철거 작업 중이던 보일러 타워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그동안 매몰자 7명을 찾는 데 집중해 왔던 소방당국은 사고 발생 8일 만인 14일 밤 마지막 실종자 시신을 수습하면서 수색 작업을 마무리했다.
정부는 철저한 수사를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일터가 죽음의 현장이 되는 비극을 이제는 끝내야 한다”며 “철저하고 신속한 수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책임자는 지위나 직책을 가리지 않고 엄정하게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 본부장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도 15일 브리핑에서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를 통해 사고 발생의 구조적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노동부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부산고용노동청은 수사전담팀을 꾸려 공사 발주처인 동서발전과 시공을 맡은 HJ중공업, 발파 전문업체 코리아카코 관계자 모두를 조사 대상에 올려놓고 있다.
사고 원인으로는 ‘사전 취약화’ 작업의 졸속 진행 등에 방점이 찍히는 분위기다. 사전 취약화 작업은 보일러 타워가 발파 때 의도한 방향으로 쉽게 무너지도록 기둥, 철골 구조물 등을 미리 잘라 놓는 과정이다. 노동부는 이 작업이 졸속적으로 진행됐는지를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 합동 감식과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도 조만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도 노동부와 별도로 사고 당시 현장 책임자 등에 과실이 없었는지를 따져보는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js@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