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매몰자 7명이 전원 사망했다. 밤사이 마지막 실종자가 시신으로 수습되면서 사고 발생 8일 만에 수색 작업이 마무리됐다.
소방 당국은 14일 오후 9시 57분께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에서 김모(62)씨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사고 발생 200시간 만에 발견됐다. 구조대는 오후 8시 49분께 김씨의 위치를 확인한 뒤 주변 철 구조물을 절단하며 1시간여 만에 시신을 수습했다.
사고는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에서 발생했다. 1980년 준공된 노후 보일러 타워를 해체하기 위한 ‘사전 취약화 작업’ 중이었다. 사전 취약화 작업은 대형 구조물이 목표한 방향으로 무너지도록 기둥과 철골을 미리 절단하는 공정이다.
높이 63m, 가로 25m, 세로 15.5m 규모의 철 구조물이 갑자기 붕괴했다. 당시 작업 중이던 9명 중 2명은 곧바로 구조됐으나 7명이 매몰됐다.
특히 김모(44)씨는 사고 발생 1시간 10분 만에 발견돼 구조대와 통화까지 했으나 결국 구조되지 못했다. 잔해가 겹겹이 쌓여 있고 막대한 하중 때문에 접근이 불가능했다. 김씨는 이튿날 오전 사망 판정을 받았다.
초기 수색은 H빔과 철근이 실타래처럼 얽혀 난항을 겪었다. 사고 이틀째인 7일 2명, 9일 1명의 시신을 수습했다. 그러나 인접한 4·6호기의 추가 붕괴 위험으로 중장비 투입이 제한됐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유가족과 협의 후 11일 낮 12시 4·6호기를 발파했다. 발파 당일 오후 1명, 12일과 13일 각 1명을 추가 수습했다. 14일 밤 마지막 실종자까지 찾으면서 수색이 종료됐다.
소방청은 사고 당일 오후 3시 13분 발령한 국가소방동원령을 14일 오후 10시 17분 해제했다.
해체 공사는 한국동서발전이 발주하고 HJ중공업이 시공을 맡았다. 발파 전문업체 코리아카코가 하도급받아 작업 중이었다. 한국동서발전과 HJ중공업은 사고 발생 일주일 만인 13일 공식 사과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js@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