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3주 연속 둔화했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시장 참여자의 관망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비규제 지역으로 번졌던 풍선효과도 조금씩 잦아드는 모양새다.
13일 한국부동산원의 11월 둘째 주(10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이 기간 0.17% 올라 상승폭이 전주(0.19%)보다 0.02%포인트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20일 기준(0.50%)으로 역대 최고치를 찍은 뒤 이후 0.23%, 0.19%에 이어 3주째 오름세가 꺾이는 흐름을 보였다.
다만 강남 벨트 일부 지역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성동구는 이번 주 0.37% 올라 전주(0.29%) 대비 상승폭을 0.08%포인트 키웠고 용산구(0.23%→0.31%), 송파구(0.43%→0.47%), 서초구(0.16%→0.20%)도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 기간 경기도 아파트 가격 역시 0.10% 올라 전주(0.11%) 대비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특히 10·15대책 비규제 지역의 풍선효과도 조금씩 잦아들고 있다. 전주 0.52%나 뛰었던 구리시는 이번 주 0.33%로 상승폭이 줄었고 안양시 만안구는 0.25%에서 0.22%로 동탄신도시가 포함된 화성시는 0.26%에서 0.25%로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ta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