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재정지원이 아닌, 도시의 자족기능을 높이고 인구 정착을 가능하게 하는 광역교통망 구축이 선행돼야 합니다.”
김덕현 경기 연천군수가 지난 12일 국토발전전시관에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접경 지역의 교통소외가 지방소멸을 가속화 한다는 절박함이 담긴 지역 현안을 건의하면서 던진 말이다.
경기 북부 접경 지역은 군사 규제로 장기간 개발이 제한된 데다 철도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주민들은 제한적인 운행 횟수와 긴 배차 간격으로 통근·통학·의료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 김 군수는 김 장관에게 서울~연천 고속도로 조기 착공과 동두천월정리 전철화 사업, 경원전 전철 증차 운행을 강하게 요청했다. 지방소멸 위기 극복의 해법으로 단순한 재정지원이 아닌 도시 자족기능과 인구 정착을 가능케 하는 인프라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서울~연천 고속도로는 2027년 준공 예정인 제3국립연천현충원 등 대규모 정부 사업과 맞물려 지역경제 전환의 핵심 축이 될 전망이다. 이 사업은 국정과제에도 포함된 사안이다.
김 군수는 “연천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7년 준공 예정인 제3국립연천현충원 등 대규모 정부 재정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서울~연천 고속도로는 지역경제의 전략적 전환기를 이끌 핵심 인프라”라며 “이는 대통령께서도 공약으로 제시하고, 연천 현장 방문 시 재차 강조하신 사안으로 국정과제에도 담겨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경기 북부와 강원권 접경 지역은 국가 안보를 위해 장기간 개발 제한과 군사 규제를 감내해 온 대표적인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철도 인프라 부족으로 운행 횟수 제한·배차간격 지연 등으로 인한 통근·통학·의료 접근성 불평등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철도망 확충의 필요성을 강하게 피력했다.
이와 함께 동두천~월정리 전철화 사업은 향후 남북 철도 연결의 교두보 역할도 기대된다. 연천군은 이 사업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요청했다.
경원선 전철 증차도 시급한 과제다. 김 군수는 “경원선 전철 1호선 개통의 체감 효과를 배가하기 위해서는 증차 운행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경원선을 축으로 산업단지 조성과 신규 아파트 입주 등으로 교통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운행 횟수 확대를 통해 실질적인 교통 편익이 체감될 수 있도록 증차를 건의한다”고도 했다.
김 장관은 “접경지역의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은 대통령의 국정철학이며, 전 부처가 공유하고 있는 가치”라며 “접경 지역 교통 인프라 확충에 대해 부처 차원에서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연천군은 지역의 발전 방향을 중앙정부와 공유하고, 교통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요청하는 등 지속적인 협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k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