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수산물 산지 위판장인 부산공동어시장이 10년 넘게 지연됐던 현대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부산시는 10일 조달청을 통해 HJ중공업 컨소시엄과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사업’ 공사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실시설계 기술제안입찰에서 낙찰예정자로 선정된 HJ중공업 컨소시엄은 지난 달 17일 최종 실시설계도서를 제출했다.
이 사업은 연면적 6만1971㎡ 부지에 국비 1655억 원과 시비 499억 원, 어시장 자부담 258억 원 등 모두 2412억 원을 투입해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현대화된 시장을 조성하는 내용이다. 올해 말 착공해 2029년 준공하는 게 목표다.
1973년 개장 이후 반세기 동안 부산 수산업의 중심 역할을 해온 부산공동어시장은 노후화된 시설과 비위생적 개방형 경매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밀폐형 저온 위판장으로 전환하고 자동 선별기 등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선진화된 시장으로 재탄생한다.
그동안 사업 지연의 주요 원인이었던 어시장과의 의견 차이는 8월부터 운영된 ‘설계도서 보완 협의체’를 통해 해소됐다. 시는 위판장 폭 확대와 기둥 간격 조정 등 어시장 측 요구사항을 설계에 반영해 위판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공사 기간 중 위판 기능 유지를 위해 3단계로 나눠 진행한다. 위판량이 많은 성수기(10~3월)에는 공사를 최소화하고 단계별 공사로 위판장 면적의 60~70%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나머지는 사업부지 내 유휴지를 대체위판장으로 활용한다.
박형준 시장은 “현대화사업 공사계약 체결은 부산 수산업의 미래를 여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부산공동어시장을 대한민국 수산 유통 혁신을 선도하는 거점이자 글로벌 수산 유통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scity@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