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혈세 낭비사례로 꼽혔던 영암 국제자동차경주장(F1)이 여전히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노후화된 경기장은 전남도의 안일한 행정으로 15년째 안정 보강 사업이 멈춰서 있고, 여기에 더해 적자운영을 탈피하기 위한 민간위탁도 운영성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5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조옥현 전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2)은 전날 열린 지난 2025년도 기업도시담당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영암 코리아인터내셔널서킷(국제자동차경주장)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지적했다.
조옥현 의원은 “15년이 지나 노후화된 경기장에, 올해 계획된 안전보강 사업이 ‘행정절차 지연’을 이유로 미뤄진 점은 쉽게 납득이 안된다”며 “행정절차는 소요기간이 예견되었음에도 늦어진 사유를 보다 명확히 점검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어 “안전 보강 사업이 심의단계에서 멈춰 있고 착공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앞으로의 절차를 분기별로 세분화해 추진일정을 공개해야 한다”며 “행사보다 안전이 먼저라는 기본 원칙을 행정전반에 확실히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조옥현 의원은 올해 처음으로 민간위탁으로 운영 중인 경주장 관리체계에 대해서도 “이전보다 수입 구조가 개선된 점은 긍정적이지만, 운영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기준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조 의원은 “민간위탁 계약서에 핵심 성과지표를 명확히 반영해 시설 안전점검, 지역경제 파급효과 등을 수치로 관리해야 한다”며 “성과가 기준에 못 미칠 경우 재계약 제한이나 수수료 차등 부과 등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hp9900@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