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차세대 전투기로 개발중인 J-36의 시험 비행 모습을 공개하며 미국과의 공중전 경쟁 우위를 과시했다.
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중국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중국의 6세대 전투기 ‘젠(J)-36’의 비행 장면이 유포됐다.
지난해 12월 말 J-36이 처음 공개된 이후 10개월 만에 모습을 드러낸 두 번째 시제기로, 첫 모델보다 한 단계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에는 움푹 들어간 형태의 오목한 엔진 배기구 형태였으나 이번에는 각진 노즐로 대체됐다. SCMP는 미국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22 랩터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미국 군사매체 워존은 이 같은 설계가 고고도 비행의 안정성을 높이고 기동성을 최대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SCMP는 워존을 인용해 “무미익(꼬리날개가 없는) 설계는 본질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추력편향 기술이 성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추력편향은 엔진의 추력 방향을 바꾸는 기술로 수직이착륙과 비행 상황에 따라 빠르게 움직임 전환이 가능하게 해준다.
SCMP는 새로 공개된 J-36은 기체 위쪽에 1개, 아래쪽에 2개의 공기 흡입구를 갖춘 삼중 엔진구조를 갖췄다고 설명했다. 기존 V자형에서 스텔스 성능을 강화한 ‘디버터리스 초음속 인렛(DSI)’ 방식으로 변경했고, 착륙장치도 일렬 배치에서 나란히 배치하는 구조로 바꿔 실전형 설계에 근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J-36은 지난 6월 청두항공기공업그룹의 쓰촨성 메인 공장 활주로에서 찍힌 모습이 처음 공개됐다. 6세대 전투기로 개발중인 J-36의 전투 반경은 5세대 전투기보다 2∼3배 넓은 최대 3000㎞에 달하며, 기존 미국 전투기의 약 두 배 수준인 첨단 공대공 미사일 12발을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CMP는 “중국의 6세대 전투기 개발은 미국의 6세대 전투기 개발과 맞물려 진행되고 있다”며 “J-36, J-50은 이르면 2031년 1월 실전 투입될 수 있고, 미국의 6세대 전투기보다 수년 앞당겨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은 2014년부터 6세대 전투기 개발을 추진해왔으나 비용 문제 등으로 지난해 7월 사업 중단 및 재검토에 들어갔다. 이후 올해 3월 보잉이 주 개발사로 선정돼 9월 생산 단계에 돌입한 상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right@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