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29일 발생한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1일 정부를 향해 투명하고 신속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참사 발생 308일 만에 열린 첫 서울 상경 집회 자리에서다.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 인근 전쟁기념관 앞에서 ‘300일 진상규명 촉구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정부에 보내는 호소문에서 “진상조사가 참사의 책임자 중 하나일 수 있는 국토교통부 소속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에서 진행돼 독립성과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된다”며 정부와 국회에 항공철도사고조사법을 개정해 조사위원회를 국토부에서 독립시켜달라고 촉구했다. 또 항철위에서 현재까지 수집한 모든 자료를 유가족에게 공개하라고 요청했다.
김유진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블랙박스는 공개되지 않았고 조사기록은 모두 봉인된 채 정부와 국회는 사고 조사 중이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우리가 바라는 건 보상도 특혜도 아닌 오직 진실”이라고 말했다. 참사로 부모님을 잃은 권모씨는 “참사는 절대 하나의 원인으로만 일어나지 않는다”며 “죽은 자는 말이 없으니 참사의 원인으로 탓하기 가장 쉽다. 하지만 이 참사가 과연 (숨진) 조종사가 버드 스트라이크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서 야기된 것이냐”고 반문했다.
유가족 등 약 300명은 희생자들의 영정 사진을 품에 안고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진실을 규명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앞서 유가족들은 용산역에 모여 희생자들의 영정 자신을 들고 전쟁기념관까지 침묵 행진도 벌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lways@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