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일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인공지능(AI) 혁신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해 민관 협력을 촉진하겠다”고 강조했다. AI와 인구구조 변화 등 시대적 파고에 대응하기 위한 신성장동력으로 문화창조산업을 꼽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 제2세션 개회사에서 “AI와 인구구조 변화라는 공통의 과제에 대한 창의적 해법을 함께 찾아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먼저 APEC 회원국 다수가 AI 역량 및 특허 보유 상위 국가에 포함된 점을 거론한 이 대통령은 “막강한 잠재력을 공동 번영의 동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은 AI 혁신 생태계 조성에 역량을 집중하며 국가적 차원의 ‘AI 대전환’을 추구하고 있다”며 “대규모 AI데이터센터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인재를 양성해 AI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규제 개선에도 앞장서서 글로벌 기업들이 자유롭게 혁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중요한 원칙으로 기술 혁신이 포용 성장을 이끄는 ‘인공지능 기본사회’, 일명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전 세계인 모두가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을 핵심 비전으로 삼아 이를 위한 정책들을 차근차근 실현해 나갈 것”이라며 “한국이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AI센터’는 AI 정책 교류와 AI 격차 해소를 목표로 하고 궁극적으로는 역내 AI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 문제도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인구구조의 변화는 경제성장, 노동시장, 교육, 복지 등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하고도 큰 위기”라며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부분적이고 개별적인 대응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AI와 인구구조 변화라는 거대한 파고에 대응하려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한다”며 “대한민국은 신성장동력으로 문화창조산업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아태지역은 이미 전 세계 문화창조산업의 성장엔진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이런 흐름 속에서 올해 APEC 최초로 ‘문화창조산업에 관한 고위급 대화’가 개최됐다”며 “문화가 가진 창의성과 교류의 힘은 경제적 가치를 넘어 회원 간 이해와 연대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줄 것”이라고 역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eeyou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