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무원 업무시스템인 '온나라 시스템'과 공무원 인증에 필요한 행정전자서명(GPKI)에 해커가 접근한 정황을 확인하고 보안 조치를 강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8월 미국 해킹관련 매체인 '프랙 매거진'이 한국의 중앙부처와 이동통신사, 민간기업이 해킹당한 흔적이 있다는 의혹에 대해 두 달 만에 사실로 인정한 셈이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정부업무관리시스템(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올 7월 중순 경 국가정보원을 통해 외부 인터넷 PC에서 정부원격근무시스템(G-VPN)을 통해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에 접근한 정황을 확인했다"며 "8월 4일 정부원격근무시스템에 접속 시 행정전자서명 인증과 더불어 전화인증(ARS)을 반드시 거치도록 보안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현재 온나라시스템과 함께 해킹 흔적이 발견된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서는 총 650개다. 이 중 12개는 인증서키와 비밀번호까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행안부는 650개 중 대부분의 인증서가 유효기간이 만료됐고, 유효기간이 남아있는 3개에 대해서는 8월 13일 폐기 조치를 했다고 설명했다.
해킹 원인으로는 사용자 부주의로 외부에서 인증서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됐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6만3000여 명의 공무원이 재택근무나 외근할 때 G-VPN을 사용하는데 이 때 악성코드를 이용해 탈취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GPKI의 비밀번호까지 아는 경우가 있을 것으로 판단해 전체 폐기했다”고 말했다. 프랙 매거진에 게시된 이용 기관의 행정전자서명 인증서 'API 소스 코드'는 '엑티브 엑스'가 사용되던 예전 버전으로, 2018년부터 사용하지 않아 지금은 보안 위협은 없는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행안부는 탈취 및 복제의 위험이 있는 행정전자서명 인증서의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공무원이 사용하던 행정전자서명 기반의 인증 체계를 생체기반 복합 인증 수단인 모바일 공무원증 등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또 대국민 정부서비스 인증체계에 대해서도 생체인증 수단을 활용하는 모바일 신분증 등 안전한 인증수단 도입을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최근 발생하는 사이버 위협 동향에 대해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침해 사고의 주요 원인인 피싱, 악성코드, 보안 취약점 등에 대해 점검하고 있다”며 "동일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고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올 8월 프랙 매거진은 미국 비영리 단체 '디 도시크릿츠'가 'KIM'이라는 공격자의 서버를 해킹해 획득한 자료를 토대로 한국의 행안부, 외교부 등 중앙부처와 민간기업, 이동통신사 등이 해킹당한 흔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KIM은 북한 해킹그룹 김수키로 추정됐다.
해킹 흔적이 발견된 곳으로는 행안부, 외교부 등 중앙행정기관과 군, 검찰, 다음·카카오·네이버, KT·LG 유플러스 등이다. 이중 행안부는 온나라, GPKI에서 해킹 흔적이 나왔다. 이에 피해 확인과 사실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으나 행안부를 비롯한 정부부처는 “국가정보원이 조사 중”이라며 답을 피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ee1205@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