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한 산후조리원 2주 이용 요금이 4020만원에 달해 전국 최고가로 조사됐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2주간 산후조리원 이용 요금은 최고 4020만원에서 최저 120만원으로, 무려 33.5배의 격차를 보였다.
일반실 기준으로는 서울 강남의 A·H산후조리원이 1700만원으로 가장 비쌌으며, 전북 군산의 M산후조리원이 120만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특실은 서울 강남의 D산후조리원이 402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고, 전남 강진 공공산후조리원이 154만원으로 최저가였다.
2021년 특실 최고 요금(2주 기준)이 2600만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4년 새 1.55배 상승한 셈이다.
일반실 요금 상위 10개 산후조리원 중 7곳이 서울 강남구에 집중됐으며, 나머지는 서울 용산구·강서구, 경기 성남시에 각각 1곳씩 분포했다. 상위 10곳의 평균 이용 요금은 1260만원으로, 하위 10곳(평균 150만1000원)보다 약 8.4배 높았다. 하위 10곳 중 6곳은 공공산후조리원으로 평균 이용 요금을 낮추는 데 영향을 미쳤다.
남 의원은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하반기 519개소에서 지난해 하반기 460개소로 줄었고, 일반실 평균 요금은 232만원에서 355만원으로 100만원 이상 상승했다”며 “시설 수는 줄고 가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조리 시설을 선택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올해 6월 기준 공공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이용료는 약 174만원으로 민간의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 공공산후조리원은 21개소에 불과해 접근성이 매우 낮다”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를 통해 산모들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질 높은 조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복지부가 지난 2월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 따르면 산모들이 정부에 가장 많이 요구한 정책은 ‘산후조리 비용 지원’(60.1%)이었다. 산후조리원 선택 기준으로는 ‘집이나 병원과의 거리’(59.1%)가 가장 많았고, 이어 ‘가격 대비 시설·프로그램 수준’(32.5%), ‘가격이 저렴한 곳’(10.9%) 순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