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정보 시스템을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사태로 국가 전산망 기능이 사실상 마비 상태에 빠진 가운데, 민간 플랫폼을 활용해 정부의 대국민 공지를 전달하는 유례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행정안전부는 27일 공지를 통해 다수 행정서비스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며 민간 플랫폼인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공지' 창구를 통해 국민 행동요령을 안내했다.
네이버 포털 및 모바일 네이버 공지사항에 들어가면, '스마트 엔터 검색결과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추천·구독탭 내 카테고리 제거 안내' 등 각종 네이버 자체 공지글과 함께 최상단에 '국가정보관리원 화재 관련 대국민 공지'글이 게시돼 있다.
공지글에 따르면 현재 정부24, 국민신문고시스템, 우체국 우편 등 대국민서비스는 물론 행안부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 홈페이지 및 관련 서비스 사이트, 온라인 공무원증, 정부 메일링시스템 등 서비스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다.
민원서류 처리와 발급 등을 위한 대체 서비스 사이트로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교통민원24, 세움터, 홈택스, 국민건강보험, 농업e지 등을 안내되고 있다.
월간활성이용자(MAU) 4000만명을 넘어선 네이버는 국내 포털 서비스 1위 사업자로 그간에도 국가 재난 상황에서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하는 재난 포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특히 호우 등 상황에서 기상청 특보를 비롯해 시간별 날씨 등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과 연동해 전국의 재난문자 현황 등을 전달해 왔다.
그러나 정부 전산망 자체가 불능 상태에 빠져 결국 민간 사업자 포털이 대안으로 부상한 상황은 비판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3년 전 카카오톡 먹통 사태로 판교 데이터센터 운영 관리 도구가 이중화되지 않아 대규모 장애가 벌어졌던 문제가 '행정부 버전'으로 되풀이됐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당시 민간 사업자에 대해서도 다중화 클라우드 서버 구축을 비롯한 강도 높은 대비책 마련이 사실상 강제된 상황에서 정작 규제기관인 정부가 손을 놓고 있다가 불능 상태에 빠져든 만큼 후폭풍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관계자는 "전례없는 상황이 발생한 만큼 정부의 요청에 적극 협조할 방침"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