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쏠림 현상이 지금처럼 지속될 경우, 20년 뒤에는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에도 못 미치는 시군구가 전국에 15곳이나 생길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지역 간 노동인구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완화하는 동시에 장년층의 중소도시 유입을 촉진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한국은행은 14일 'BOK경제연구' 시리즈로 발간한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한은 경제연구원 정종우 과장은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공동 작성했다.
이번 보고서는 2022∼2042년 시군구 경제활동인구 변화 전망을 토대로 했다. 광역 시도가 아닌 시군구 단위로 분석을 시도한 것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이다.
보고서는 연령별 인구이동과 사망·출산의 변화를 고려한 결과 장차 시군구 간 경제활동인구 격차가 빠르게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컨대 경제활동인구 1만명 미만 시군구는 현재 0곳에서 2042년 15곳으로, 30만명 이상인 시군구는 18곳에서 21곳으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우리나라 전체 시군구는 모두 229곳이다.
세대별로는 청년층의 인구 이동은 주로 중소 도시에서 대도시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혹은 인구가 감소하는 도시에서 증가하는 도시로 이동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반대로 장년층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이동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관찰됐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진은 청소년층의 대도시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장년층의 중소도시 유입을 유도하는 것이 향후 지역 간 노동력 불균형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보고서는 "지역 거점도시 육성으로 청년층이 지방에서도 경제적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한다면 현재의 지역 간 청년 인구이동 차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장년 인구를 대상으로 경제적 유인책 제공, 복지·의료 서비스 강화 등으로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이동을 장려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