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물스럽게 남아있던 빈집이 철거된 뒤 주민 불안이 사라지고, 마을이 한결 깨끗해져 변화를 체감하고 있습니다."
유기문 경기 연천군 청산면 초성1리 이장은 “주민들의 참여와 협력이 문제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동력이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경기도가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발생 예방을 위해 추진 중인 접경 지역 빈집 정비사업이 주민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까지 도는 접경 지역인 고양·파주·김포·양주·포천·동두천·연천에서 총 500호 넘는 빈집을 마을정원, 공공주차장 등 주민 활용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이 사업은 접경 지역 구도심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빈집 문제를 해소하고, 도시미관과 주거환경을 개선해 주민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40억 원 이상. 파주시 조리읍 뇌조1리와 연천군 청산면 초성1리 사례가 대표적인 성과로 꼽힌다.
파주시 조리읍 뇌조1리는 오랫동안 방치돼 흉물로 여겨지던 빈집을 철거한 뒤, 주민 참여를 통해 마을 정원으로 꾸몄다. 이곳에는 86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작업을 벌인 결과 어둡고 위험했던 공간은 꽃과 나무가 가득한 쉼터로 바뀌었다. 또, 마을회관과 함께 이웃들이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교류의 장이 됐다.
특히 가수 임영웅이 콘서트 영상 촬영을 위해 이곳을 찾은 뒤 팬들사이에 이곳은 ‘웅지순례지’로 바뀌었다. 지금은 전국 각지에서 방문객이 몰려드는 곳으로 거듭났다. 빈집이 단순히 사라진 자리가 아니라, 주민 교류의 장이자 문화·관광 자원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연천군 청산면 초성1리의 빈집도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초성1리 주민들은 오랫동안 방치된 한 빈집 때문에 안전과 위생 문제가 끊이지 않자 불편을 호소했다. 이에 마을 이장은 연락이 닿지 않던 소유주를 찾아내 협의를 이끌어냈고, 경기도와 연천군의 행정 지원이 맞물리며 철거가 성사됐다. 초성1리에는 예산 3000만 원이 투입됐다.
김상수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빈집 정비는 단순히 건물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주민과 함께 새로운 생활공간을 만들어가는 일”이라며 “접경지역 전역으로 사업을 넓혀 주민들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마을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올 3월 접경 지역으로 편입된 가평군을 사업 대상에 포함하기 위해 하반기 사전 수요조사를 거쳐 내년부터 빈집 정비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