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이 오는 8일 부산형 인공지능(AI)비서 ‘PenGPT’를 정식 개통한다. 교사와 학교 현장이 AI비서를 활용해 행정업무 부담을 덜고 교육에 더욱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교직원 업무경감’은 김석준 교육감이 지난 4월 교육감 재선거에서 약속한 주요 공약 중 하나다.
시교육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사용자 편의성 점검 등을 위해 초·중·고 및 특수학교 16곳을 대상으로 ‘PenGPT’를 시범 운영 중이다. 오는 4일 교육연구정보원 대강당에서는 PenGPT 사용법, 정보통신 윤리교육 등을 다루는 초·중등 학교 관리자 대상 연수도 실시한다.
지난 5월부터 시스템을 준비, 개통을 앞두고 있는 ‘PenGPT’는 시교육청의 각종 매뉴얼과 기본계획 등이 학습된 부산형 AI 비서로 문서 요약 및 초안 생성, 회의록 작성 등 반복적인 행정과 문서 업무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가정통신문과 각종 계획서 초안 작성 등 다양한 업무도 지원함으로써, 행정 부담을 크게 줄이고 교육활동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교직원의 공문서 작성 편의성을 위해 행정·교무학사 분야의 공문서 표준(샘플) 서식 총 307종을 개발해 교육청 업무 시스템(K-에듀파인)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표준 서식은 행정분야는 학교회계·급여·계약 등 9개 분야 150종이, 교무학사 분야는 교무학사·학적·교육과정 등 10개 분야 157종이 제공된다.
아울러 기간제교사 채용 과정 지원 프로그램, 학교업무분석 프로그램, 학교업무분장 자동화 프로그램 등 반복적인 행정업무를 간소화를 위한 자동화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될 예정이다.
김 교육감은 “이번 AI비서 도입 및 업무 자동화·효율화 추진은 학교가 교육의 본질에 더욱 충실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