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29일 오전 세종포천고속도로 오송지선 건설공사 현장을 찾아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다.
김 장관은 "세종안성고속도로 사고 사례를 토대로 세부 작업 절차와 기준 위반이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발주청과 시공사뿐 아니라 현장 근로자들도 사고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안전교육 강화 등 필요한 조치를 적극 취해 달라"고 당부했다.
세종포천고속도로 오송지선은 세종시 전동면에서 충북 청주시 오송신도시까지 6.21㎞를 연결하는 사업으로 내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앞서 지난 19일 국토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가 조사 결과를 발표한 세종안성고속도로 청용천교 붕괴사고처럼 교량공사에 런처 장비를 사용하는 현장이다. 런처는 제작장에서 만들어진 거더(다리 상판의 대들보 역할을 하는 구조물)를 교각 위로 운반·설치하는 건설장비다.
김 장관은 이어 오후에는 한국도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국토안전관리원,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 대한건축사협회 등과 함께 정부세종청사에서 건설안전 현안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서는 건설안전을 높이기 위한 발주청과 시공·설계·감리업계의 역할, 건설 주체별 안전관리 책무를 규정한 건설안전특별법 제정 등 제도개선 방안이 논의됐다.
김 장관은 "우리나라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의 2배가 넘고 산업재해 사망자의 약 40%가 건설업에서 나온다는 데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정부가 필사즉생의 각오로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해 안전관리의 제도적 기반을 다질 테니 업계도 그 위에 바로 서 책임을 다해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