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다음 주로 예정된 인사청문 정국을 앞두고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부적격 인사 1순위’로 지목한 뒤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앞서 교육부·여성가족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낙마한 이진숙·강선우 후보자에 이어 이재명 정권의 인사 검증 부실 논란을 다시금 부각해 정국 반전의 기회로 삼으려는 의도로 읽힌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28일 기자회견을 열어 내달 2일 인사청문회를 앞둔 최 후보자의 정치 편향 및 막말 논란을 지적하며 자진 사퇴와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야당 교육위 간사인 조정훈 의원은 “최 후보자는 대한민국 교육계가 아닌 전교조의 상징적 인물”이라며 “그가 교육부 장관이 된다면 교육부는 더 이상 교육부가 아니라 전교조부, 나아가 전교조 공화국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최 후보자의 안보관은 대한민국의 기초를 흔드는 수준”이라며 “천안함 폭침을 북한이 아닌 이스라엘 탓으로 돌리는 음모론을 공유했고 (세종시교육감 시절) 세종시교육청이 주관한 ‘교사 학습자료’에는 북한의 북방한계선(NLL) 주장을 사실상 두둔하는 내용을 담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 후보자가 과거 통일부에 북한 방문을 17차례 신청받은 것을 언급하며 “이것은 교육자가 아니라 대한민국 안보를 위협하는 친북 정치 선동가의 모습”이라고 직격했다.
최 후보자의 과거 언행도 청문회의 주요 쟁점으로 거론된다. 우재준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전날 국회 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야당 추천 국가인권위원 후보자들의 과거 발언 등을 이유로 선출안을 부결시킨 것과 관련해 “최 후보자는 조국 전 장관 입시비리 수사,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범죄를 적극 옹호하며 박근혜 전 대통령을 향해서는 차마 언어로 옮기기 어려운 표현의 욕을 공공연하게 게시했다”며 정부·여당의 적반하장식 태도를 문제 삼았다. 부산을 지역구로 둔 국민의힘 의원들도 최 후보자가 18대 대선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 대선 패배 직후 “여전히 부끄러운 부산”이라는 글을 공유했다며 지역 비하 의혹을 제기했다. 논문 표절 의혹도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내달 초 순차적으로 예정된 장관급 공직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전선을 넓히기보다 최 후보자의 낙마에 화력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아직 청문회 일정이 정해지지 않은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이나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 주병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후보자의 경우 결격 사유가 크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전날 본회의에서 야당 몫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선출이 더불어민주당의 반대로 부결된 것을 고리로 인사청문회 불참 등 9월 정기국회 일정 전체를 보이콧(의사일정 거부)하는 방침도 검토되고 있다. 최근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 하락세가 감지되는 가운데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인사에서 추가 낙마를 이끌어내 야당으로서의 존재감 회복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