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중화 재정비촉진지구(옛 뉴타운)으로 지정됐다 2023년 해제된 서울 중랑구 중화동 309-39일대에서 최고 35층 1280가구 내외 규모의 아파트 단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화동 309-39 일대 재개발사업 신속통합기획이 확정됐다.
오랜 기간 개발이 정체됐던 ‘중화동 309-39 일대’가 중랑천 변의 새로운 수변 활력단지로 거듭난다. 서울시는 ‘중화동 309-39 일대 재개발사업’ 신속통합기획을 27일(수) 확정했다.
이번 신통기획 대상지는 중랑천과 서울 지하철 7호선 중화역 사이에 있다. 서울시는 이 같은 입지 조건과 함께 주변에서 진행 중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중랑천 일대 친수공간 조성, 생태 하천 복원 등을 반영해 중랑천을 찾는 시민과 단지 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설 배치와 보행길 정비에 중점을 뒀다.
서울시는 이번 신통기획에 중랑천의 새로운 풍경을 만드는 수변 경관, 지역 활력을 이끄는 주거 단지, 주변 지역과 연계되는 보행 친화형 생활 공간, 생활 기반 시설 조성을 통한 편리한 정주 환경 조성의 4가지 원칙을 담았다.
단지에는 중랑천에서 봉화산 능선 방향으로 폭 24m의 통경축을 조성해 수변으로 열린 경관 조망이 가능하게 한다. 중랑천과 가까운 동은 18층 내외로 조성하고 저층부에는 테라스를 배치해 수변 특화 경관을 조성한다. 단지 중앙에는 중랑천과 봉화산 조망이 가능한 최고 35층 내외의 랜드마크 주동을 배치한다.
이를 위해 기존 1~2종 일반주거지역이었던 용도 지역을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높이고 사업성 보정계수를 적용해 용적률을 300%로 높였다. 기존 2009년 촉진계획에서는 계획된 용적률 235%의 최고 25층 900여가구보다 주택 공급 규모가 300여 가구 증가했다.
장미제일시장으로 이어지는 위치에는 근린 생활 시설과 지역 주민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데이케어센터(노인 주야간 보호센터), 노인복지관, 공영주차장 등 공공 시설을 배치한다.
중화역에서 중랑천으로 통하는 동일로 139길에는 어린이공원과 녹지 보행길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중랑천변 접근성을 개선하고 신목초등학교, 장미제일시장 등 주변 주요 시설을 연결하는 보행길도 만들어진다.
효율적 토지 이용을 위해 사회복지시설과 주차장은 복합시설로 계획했다. 중랑천로와 동일로139길은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을 없애고 현재 2차선인 도로를 3~4차선으로 폭을 넓혀 원활한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계획했다.
시는 대상지에 재개발사업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신통기획 완료 후 2개월 내 주민 공람을 실시하는 재개발 처리기한제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내년 1분기 중 정비구역 지정을 목표로 삼고 있다.
시에 따르면 중화동 309-39 일대를 포함해 대상지 205곳 중 132곳(22만 9000여 가구)에 대한 신통기획이 확정됐다. 추진 단계별로는 정비계획 수립 중 57곳, 정비구역 지정 47곳, 조합설립인가 23곳, 사업시행계획인가 등 5곳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신통기획으로 중랑천 수변공간 개편 등 지역 일대 변화 속에서 중화동 309-39 일대가 수변 활력 단지로 재탄생할 것"이라며 "주민의 쾌적한 일상생활과 지역 활성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