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한강로2·3가 일대의 용산전자상가에 속한 나진상가 15동과 17·18동 부지에 인공지능(AI)·로봇 등 신산업 관련 업무 시설과 제2보훈회관이 들어선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25일 제1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용산 지구단위계획, 용산전자상가지구 특별계획구역7·8 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이 수정 가결됐다.
나진상가 15동 부지인 특별계획구역7은 용적률 949%가 적용된 지하 8층~지상 21층(연면적 2만 7627㎡), 17·18동에 해당하는 특별계획구역8은 용적률 975%의 지하 8층~지상 27층(연면적 15만 5367㎡)의 규모로 각각 업무 시설과 생활 편의를 위한 근린생활시설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이번 세부개발계획 결정에 따라 향후 건축계획 수립, 서울시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치게 된다. 이어 용산구의 건축 허가를 받아 착공에 들어간다. 2026년 착공,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같은 개발 사업 추진에 따른 공공 기여로 제2보훈회관과 406대 규모의 공영주차장이 함께 건립된다. 지상 9층 규모로 조성될 제2보훈회관은 올해 하반기 건축 인·허가 절차를 거쳐 2030년 준공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6월 보훈단체와의 간담회에서 처음으로 제2보훈회관 건립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용산전자상가 일대는 총 11개 특별계획구역이 있고 그 중 6개 구역에서 세부개발계획이 제출돼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앞서 6월에는 6개 구역 중 처음으로 나진상가 12·13동 일대의 특별계획구역5 세부개발계획이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용적률 800%를 적용해 지하 8층~지상 27층(연면적 7만 3420㎡)의 신산업 관련 업무 시설과 오피스텔 등을 조성하는 내용이다.
서울시는 1990년대 국내 전자 산업의 중심지였다가 쇠퇴한 용산전자상가 일대를 인근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연계해 AI·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신산업 혁신·창업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