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6호선 안암역 역세권에 공동주택, 생활 편의를 위한 근린생활시설, 공유 오피스 등으로 구성된 복합 시설이 조성된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25일 제1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성북구 안암동5가 85-7 일대 지구단위계획 결정안이 수정 가결됐다. 안암역 역세권 활성화 사업을 뒷받침하는 지구단위계획이다.
대상지에는 현재 주택, 근린생활시설, 병원이 있다. 주변에는 고려대학교와 대학병원이 있고 먹자골목 등 대학가 상권이 형성돼 있으나 대다수 건물들이 노후된 상태다. 이에 서울시는 역세권 기능 강화와 활성화를 위해 개발 계획 수립에 나섰다. 대상지 특성을 고려한 상업·업무·주거 기능 중심의 복합 거점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지하 5층~지상 29층, 138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공동주택 중 109가구는 민간이 운영하는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으로 공급된다. 임대사업자가 10년 이상 임대를 하게 되며 임대료 인상률은 연간 5% 이내로 제한된다. 의무 임대 기간 종료 후에는 분양 전환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이 같은 임대 주택이 인근 대학교, 대학병원 종사자의 직주근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물 지상 1~2층에는 연면적 1500㎡의 공유 오피스가 조성된다. 주변 대학과 연계한 청년들의 창업 활동과 소상공인들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지상 3층에는 개방형 휴식 공간인 옥상 정원을 조성하고 대상지 북쪽의 단절된 도로는 인접 도로와 연결해 주변 고려대로, 안암로, 고려대로24길 등이 연결될 수 있는 차량 동선을 확보했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결정에 따라 복합 시설은 향후 교통영향평가, 건축위원회 심의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하반기 착공 예정이며 2029년 준공 목표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안암역 역세권 활성화 사업을 통한 상업·업무·주거 복합 기능 도입으로 일대 생활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