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전당대회 당대표 선거에서 결선에 진출한 김문수 후보가 23일 1차 투표에서 탈락한 안철수 의원과 오찬 회동을 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안 의원을 만난 후 기자들과 만나 “힘을 합쳐서 내년 지방선거를 이기는 방법을 찾아내야 하지 않냐는 이야기를 주로 했다”고 회동 내용을 전했다.
찬탄(탄핵 찬성)파인 안 의원과 연대 가능성에 대해선 “안 의원이 특별히 조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니까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국민의힘 내에서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서로 확인했다”고만 답했다. 앞서 안 후보가 혁신안으로 제안한 대선 백서에 대해선 “받아들일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또 1차 투표에서 안 의원과 함께 탈락한 찬탄파 주자 조경태 의원과의 회동 계획과 관련해 “만날 것(계획)은 없는데, 통화로 수고 많이 했다고 했다”며 “우리 당에 다양한 의견들이 있기 때문에 힘을 합쳐 내년 지방선거에서 이겨야 한다고 얘기했다”고 전했다.
안 의원은 이날 회동이 지지 선언은 아니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절연이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안 의원은 기자들에게 “다른 후보를 지지하고자 하는 회동이 아니다”며 “단지 우리 당이 혁신해야 하고 윤 전 대통령, 계엄 옹호와 절연해야 한다는 말씀을 드리고자 만났다”고 전했다.
이날 회동에서 윤 전 대통령과 절연을 요구한 데 대한 김 후보의 반응을 두고 “그냥 듣고 계셨다”며 “통합을 위해 탄핵을 옹호하는 세력을 받으려고 노력하면서 갈등을 부추기기보다 오히려 (탄핵 반대 세력이) 나가서 따로 당을 차리는 게 더 현명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결선 진출에 실패한 데 대해 안 의원은 “탄핵이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 판결이 났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분들이 과반수라는 것에 좀 충격을 받았다”며 “이게 우리 당이 나아갈 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안 의원으로부터 직접적인 지지 선언을 얻어내지는 못했지만 결선 경쟁자인 장동혁 후보와 차별점을 부각시킨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는 결선 진출 이후 찬탄파와 관계 설정에 대해 “(생각이 다르다고) 무조건 암세포 자르듯이 잘라내자는 건 민주주의라기보다 독재의 전제가 아니겠나”라고 연대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다.
반면 장 후보는 “당과 다른 방향으로 가려는 분들이나 내란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얘기하면서 우리 당을 위험에 빠뜨리는 분들이 있다”며 “전당대회 이후에도 그 입장을 유지하는 분들이 있다면 함께 갈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결선투표에서는 탈락한 찬탄파 표심 흡수가 승부를 가를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결선 진출자인 김·장 후보를 대상으로 한 차례 더 방송 토론회를 거친 후 24~25일 당원 선거인단 투표와 일반국민 여론조사가 실시돼 26일 최종 선출자를 발표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