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별검사팀(특별검사 민중기)이 법원에 800쪽 분량의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12일 열리는 김건희 여사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 실질 심사)를 겨냥한 ‘총력전’에 나섰다. 특검팀은 증거인멸 우려가 크다며 김 여사에 대한 구속 수사의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김 여사 측은 도주 우려가 없는 데다 특검 주장의 근거가 없다는 방어 논리를 펼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11일 언론 공지를 통해 “지난 목요일(7일) 572쪽 분량의 구속 의견서를 제출했고, 이날 오전 276쪽 분량의 의견서를 추가로 제출했다”고 밝혔다. 총 848쪽에 달하는 구속 의견서로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9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영장 실질 심사에서 낸 의견서(300쪽)의 3배에 가까운 수치다.
서울중앙지법 정재욱 영장 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열리는 영장 실질 심사에는 한문혁 부장검사 등 8명이 참여한다. 한 부장검사는 서울고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재수사팀에서 활동했다. 6일 김 여사에 대한 대면 조사에서 해당 사건의 심문도 맡았다. 민중기 특검이나 특검보 4명이 아닌 실제 수사·조사를 담당한 인물로 공격진을 꾸린 셈이다. 실제로 특검팀은 김 여사에 대한 구속영장 대부분을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할애했다. 특히 △8억 1144만 원 시세 차익 △블랙펄에 40% 수익 배분 △1차 주포 이정필이 손실보전금 4700만 원 지급 등을 주요 근거로 담았다. 여기에 김 여사가 자신의 노트북을 초기화했고 휴대폰을 교체하는 등 증거인멸의 우려가 크다는 점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검은 이날 고가 목걸이 전달 의혹을 받는 서희건설을 압수수색하고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를 불로 조사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였다. 특검팀은 앞서 서희건설이 2022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당시 김 여사가 찬 반클리프앤아펠 목걸이와 비슷한 제품을 구입한 정황을 포착한 바 있다. 특검팀은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의 사위인 박성근 전 검사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비서실장에 임명된 것이 고가 목걸이 선물의 대가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반면 김 여사 측은 영장에 나온 특검팀 주장에 구체적 근거가 없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전해진다. 차익 8억 원을 도출한 근거가 없는 데다 수익 40%는 통상의 배분이고, 손실보전 약정 등 근거가 부족하다는 게 김 여사 측 주장이다. 또 명태균 씨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해서는 “여론조사와 공천을 직접 지시한 적이 없다”고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특검팀은 김 여사가 영장 실질 심사 이후 결과를 기다릴 장소를 기존 서울구치소에서 서울남부구치소로 변경했다. 당초 김 여사는 영장 실질 심사 이후 서울구치소로 이동해 구인 피의자 거실에서 결과를 기다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최근 서울구치소 측에서 장소를 바꿔달라고 요청했다는 게 특검팀의 설명이다. 이는 김 여사의 배우자인 윤 전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내란 특검에 구속돼 서울구치소에 수용 중인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