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내란 특검(조은석 특별검사)은 7일 신원식 전 국가안보실장과 조규홍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동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신 전 실장은 오전 10시부터, 조 전 장관은 오후 2시부터 조사 중”이라며 “두 사람 모두 참고인 신분”이라고 설명했다.
신 전 실장은 앞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증인으로 나와 “비상계엄 선포를 위한 국무회의가 열린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 대기실에 있었다”며 “뒤늦게 윤 전 대통령에게 ‘무슨 비상계엄이냐’고 만류했다”고 진술한 바 있다. 그는 또 지난해 3월 삼청동 안가 식사 모임에서 윤 전 대통령이 ‘비상한 조치’를 언급하자, 김용현 전 국방장관을 통해 반대 의사를 전달해달라고 요청했다고도 증언했다.
조 전 장관은 작년 12월 3일 밤 계엄 선포 국무회의에는 참석했지만, 해제 국무회의에는 불참했다. 특검은 그가 왜 해제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는지, 또 ‘전공의 미복귀시 처단’ 문구가 포함된 계엄 포고령 작성 과정에 관여했는지를 조사 중이다. 조 전 장관은 검찰 특수본 조사에선 관련 내용을 사전에 몰랐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도 오전부터 참고인 신분으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박 특검보는 “당시 국회의장으로서 계엄 해제 의결을 주관한 우 의장의 진술은 국회 침탈 의혹의 진상을 밝히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참고인 조사를 통해 국회가 어떤 위협과 방해를 받았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