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특검 개시 후 처음으로 김 여사를 소환 조사한 가운데, 외신들도 출석 상황을 보도하며 김 여사의 발언과 수사 진행 상황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6일 로이터통신은 김 여사가 이날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에 출석하면서 “저같이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 심려를 끼쳐 진심으로 죄송합니다”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한국에서는 전직 대통령이나 대기업 총수 등 고위 인사들이 범죄 의혹 수사를 받을 때 종종 김 여사와 유사한 유감 표명을 한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러한 표명은 법적 책임을 인정하는 것은 아닌 경우도 많다”며 “김 여사가 받고 있는 혐의는 실형 선고가 가능한 중범죄”라고 설명했다.
AFP통신은 조사 종료 이후 특검이 김 여사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AFP는 “영장이 발부되면 전직 대통령과 영부인이 동시에 구속되는 한국 최초의 사례가 된다”고 언급했다.
일본 매체 아사히신문은 “김 여사는 주가조작 등 총 16건의 의혹에 대해 피의자 신분으로 특검의 출석 요구를 받았다”며 “앞으로도 여러 차례 특검의 출석 요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한국 정계를 뒤흔든 ‘디올 가방 스캔들’의 중심에 있었던 전직 대통령의 영부인이, 주가조작과 뇌물수수 등 다양한 혐의에 대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했다”고 전했다. 이어 김 여사가 형사 사건과 관련해 처음으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점을 짚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일주일 전, 김 여사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점에 주목했다. WP는 “윤 전 대통령은 겉으로 보기에는 평범한 여야 간 대치 국면에서 갑작스럽게 권력 장악을 시도한 것처럼 보였다”며 “일각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행위가 김 여사에 대한 각종 의혹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AP통신 또한 “일각에서는 김 여사에 대한 의혹으로 윤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한 것이 비상계엄 선포 시도의 일부 동기가 된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