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일 폭우에 이어 6~7일에도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폭 좁은 비구름대로 인해 국지성 폭우가 예상되지만 호우를 계기로 한 달 넘게 이어진 열대야는 한동안 수그러들 것으로 보인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6~7일 폭이 좁은 비구름대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5일에는 건조한 공기와 낮 기온의 상승으로 대기 불안정에 의해 중·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최대 40㎜에 달하는 소나기가 내린다.
6~7일 형성된 비구름대의 폭이 좁아진 이유는 충청 이남으로 내려와 있는 기존 건조한 공기와 북서쪽에서 남하하는 차고 건조한 공기 사이로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저기압이 발달하기 때문이다.
이 비구름대는 북서쪽에서 내려오는 차고 건조한 공기에 밀려 6일 새벽부터 오전 사이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비를 뿌리다 오후에서 저녁에는 남부지역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6일 밤부터 7일 아침 사이에는 남부지방에 걸쳐질 것으로 예측되는데 정체가 길어질수록 한 지역에 집중되는 비의 양도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비구름대의 정체는 북쪽에서 내려온 차고 건조한 공기와 남쪽에서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가 얼마나 팽팽하게 부딪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7일 구체적인 강수량은 5일에 예보된다.
6일 하루 예상 강수량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과 강원 30~80㎜(많은 곳 120㎜ 이상), 충청권 30~80㎜(많은 곳 100㎜ 이상), 전북 20~60㎜(많은 곳 80㎜ 이상), 광주·전남 5~40㎜, 경북 중북부 30~80㎜, 대구·경북 남부 10~50㎜, 부산·경남 5~40㎜, 제주도 5~20㎜다. 특히 이날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시간당 30~50㎜(일부 70㎜ 안팎)에 달하는 강한 비가 내릴 예정이다.
전날 폭우가 내렸지만 이날은 맑은 하늘에 햇빛이 내리쬐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폭염특보가 발효됐다. 다만 비가 그친 8일 이후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당분간 열대야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강한 강수가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폭염특보도 일시적으로 해제될 가능성도 예보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