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대구 달성군 화원읍 미래스마트기술 국가산업단지(대구제2국가산단) 조성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대구는 2009년 첫 국가산단 지정 이후 16년 만에 두 번째 국가산단 조성을 확정했다.
전국 11개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중 가장 빠르게 예타를 통과한 것도 의미가 크다.
실제 한국개발연구원(KDI) 예타 결과 경제성(B/C)이 1.05로, 산단 조성 사업으로는 드물게 1이 넘는 우수한 사업성을 확보했다.
정책성과 지역균형발전 등을 고려한 종합평가(AHP) 결과도 0.524(0.5이상 타당)로 사업 시행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됐다.
대구제2국가산단은 국비 1조 8000억 원을 투입해 달성군 화원읍과 옥포읍 일대에 총 255만㎡(산업용지 165만㎡) 규모로 조성된다.
산단 주변으로는 중부내륙고속도로 화원옥포IC를 비롯해 광주대구고속도로, 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5호선이 인접해 있는 사통팔달의 광역교통망을 갖췄다.
앞으로 인공지능(AI) 기반 미래모빌리티 및 첨단로봇 중심의 미래 스마트기술 거점으로 조성하게 된다.
앞서 대구시는 예타의 핵심인 입주수요 확보를 위해 240여 개 기업과 투자업무협약(MOU) 및 입주의향서를 체결했다.
3.3㎡당 분양가는 약 350만 원으로, 인근 산단 대비 70% 수준이 될 것이라고 대구시는 밝혔다.
시는 2030년 산단 준공을 목표로,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구도시개발공사와 함께 긴밀히 협력해 내달 중 산단 설계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후 산단 계획 수립 및 국토부 승인절차를 거쳐 조속한 보상과 착공을 진행할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제2국가산단을 미래 스마트기술의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해 신산업벨트 구축, 융합거점 조성, 전략적 기업유치, 스마트그린산단 조성 등 4대 특화전략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