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기사가 운행 중 쓰러진 시민을 발견하고 심폐소생술로 소중한 생명을 구한 일이 뒤늦게 알려졌다.
28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이달 11일 오후 10시 30분께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앞 버스 정류장에서 60대 후반으로 보이는 한 남성이 의식을 잃고 바닥에 쓰러졌다. 놀란 학생들이 하나둘 모여들어 머뭇거리던 그때, 정류장에 막 도착한 171번 버스 기사 정영준(62)씨는 곧장 내려 응급조치를 시작했다.
정씨는 혀가 말려있고 호흡과 의식이 없는 남성의 혀를 펴 기도를 확보하고 곧바로 심폐소생술에 들어갔다. 정씨가 약 3~4분간 CPR을 이어갔을 무렵, 쓰러진 남성은 ‘허억’ 소리를 내며 숨을 뱉어내더니 의식을 조금씩 회복했다. 현장에 있던 학생들은 119에 신고하며 정씨를 도왔다.
호흡과 의식이 돌아온 것을 본 정씨는 학생들에게 쓰러진 남성을 119 구급대에 잘 인계해달라고 부탁한 뒤 버스에 올랐다. 정씨는 승객들에게 "기다리게 해서 죄송하다"며 양해를 구하고 다시 운전대를 잡았다. 승객들은 정씨에게 “괜찮다”, “수고하셨다”고 격려의 말을 전했다.
조합 홈페이지 게시판에도 "이런 일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칭찬하고 싶다", "기사님이 열심히 심폐소생술을 하시고 나서 쓰러졌던 분이 의식을 찾는 모습이 보였다"는 등의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정씨는 "회사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매년 받아 급박한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었던 것 같다"며 "마저 버스를 운행하면서 '배운 대로 하면 되는구나, 사람을 살릴 수 있구나' 하는 안도감이 들었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버스 기사는 매년 4시간씩 심폐소생술을 포함한 대면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연 12시간 이수해야 하는 산업안전보건교육(온라인) 과정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당시 정류장에서 쓰러졌던 남성은 의식을 회복한 상태에서 병원으로 안전하게 이송된 것으로 전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