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그렇게 스윙이 빠르세요?” “들어 올리다가 그냥 치는 것 같은데요.”
라운드 중 동반자나 캐디로부터 자주 이런 이야기를 듣는가? 혹은 연습 스윙과 실제 스윙이 많이 다르다는 소리를 항상 듣는다고?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원인은 볼을 강하게 때려야 한다는 압박감이다.
▲스피드? 스윙 시퀀스가 우선!
누구나 여유 있고 우아한 스윙을 원한다. 빈 스윙 때는 어느 정도 리듬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문제는 볼이다. 볼 앞에만 서면 스윙이 완전히 달라지는 아마추어 골퍼들이 참 많다. 오죽하면 누구나 연습과 실제의 2가지 스윙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 있을까. 실제로 볼을 칠 때 가장 크게 달라지는 것이 바로 리듬과 타이밍이다. 멀리 보내고 싶다는 생각에 스윙 스피드를 빠르게 하려고 팔과 손으로 클럽을 급히 휘두르다 보면 박자가 맞지 않게 된다.
스윙 스피드와 정확한 임팩트는 리듬과 타이밍에서 나온다. 스윙을 강하게만 한다고 해서 좋은 게 아니다. 몸이 단계적으로 움직이는 소위 스윙 시퀀스(sequence)가 올바르게 이뤄져야 작은 힘으로 볼을 멀리 보낼 수 있고 안정된 자세로 정확하게 맞힐 수도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공 잡고 공 치기’ 이미지 연습
백스윙이 채 끝나기도 전에 다운스윙으로 전환하면 스윙 시퀀스가 엉망진창이 되기 쉽다. 백스윙과 다운스윙이 약간이라도 구분이 돼야 리듬과 타이밍을 맞추기가 수월해진다. 그렇다면 백스윙 톱에서 얼마 동안 멈춰 있어야 하고, 다운스윙은 언제 시작해야 하는 걸까. 리듬과 타이밍을 익히기 위한 연습 방법을 소개한다.
고무공을 하나 준비한다. 공이 없다면 뜯지 않은 두루마리 휴지나 귀여운 곰 인형 같은 것도 좋다. 공을 양손으로 잡고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다. 이 상태로 어깨를 틀어주며 백스윙을 시작한다. 몸이 충분히 회전하면서 팔이 백스윙 톱 위치에 도달하는 때쯤에 공을 살짝 놓아 던져준다. 토스된 공은 위로 올라간다. 양 팔과 손은 움직임을 멈췄다가 떨어지는 공을 받은 뒤 그대로 다운스윙을 시작해 피니시까지 완성한다.
정말 간단하지만 프로 선수들도 자주 하는 연습법이다. 공을 떨어뜨리지 않고 스윙 동작을 해준다면 아주 좋은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다. 반복 연습을 하면서 잠깐 멈추는 타이밍을 몸에 익히도록 한다. 클럽을 들고 실제 스윙을 할 때에도 공이 던져졌다 떨어지는 동안의 이미지를 상상하면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매끄럽게 전환하는 올바른 시퀀스를 가지게 될 것이다.
주서율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활약했으며, 현재 교습가로 활동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