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절정의 몸짓·표정…모든 순간이 매혹적이었다

[리뷰-유니버설발레단 '백조의 호수']

슈퍼스타 심킨, 압도적 기술·연기

관록의 홍향기, 순백·요염 1인2역

완벽 호흡으로 발레의 정수 보여줘

백조의 호수 1막 무대를 공연 중인 다닐 심킨과 홍향기 ⓒUniversal Ballet_Photo by Lyeowon Kim




차이콥스키의 아름다운 선율로 잘 알려진 ‘백조의 호수’는 유니버설발레단의 대표 레퍼토리이자 간판 작품으로 꼽힌다. 1992년 국내 최초로 러시아 마린스키발레단의 정통 버전을 무대에 올린 이후 한국은 물론 13개국 해외 투어에서도 극찬을 받으며 실력을 인정받았다. 자연스레 매회 공연마다 주목을 받지만 19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 오르는 무대에 대한 기대는 유독 남달랐다. ‘콩쿠르의 왕자’로 불리는 발레계의 슈퍼스타 다닐 심킨이 지그프리드 왕자 역할을 맡아 국내 최초로 전막 발레를 선보인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이미 완성도 높은 유니버설발레단의 백조들과 어떤 상승 작용을 빚어낼지 발레 애호가들의 궁금증이 치솟았다.

23일 공연은 이처럼 높아진 관객들의 기대감도 넉넉히 만족시킬 만한 매혹적인 무대로 완성됐다. 이날 공연은 유니버설발레단의 간판이자 관록의 백조를 선보여 온 홍향기와 심킨이 19일에 이어 두 번째로 호흡을 맞춘 무대이자 마지막 무대였다.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을 가득 메운 관객들이 공연 시작부터 들뜬 기색을 감추지 못한 가운데 무용수들은 시종일관 우아하고 품격 있는 감정 연기와 안정된 테크닉을 펼치며 관객들을 낭만의 세계로 안내했다. ‘백조의 호수’가 왜 세계 발레 팬들로부터 100년 이상 사랑받는지를 여실히 증명하는 장면들이 매순간 펼쳐졌다.

백조의 호수 무대에 오른 다닐 심킨 ⓒUniversal Ballet_Photo by Lyeowon Kim


‘백조의 호수’는 악마의 마법에 걸려 백조가 된 공주 오데트와 지그프리드 왕자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두 사람의 사랑을 방해하는 악마의 계략으로 왕자가 흑조 오딜에게 사랑을 맹세하게 되고 이야기는 혼돈으로 치닫는다. 1877년 러시아 모스크바 볼쇼이 극장에서 초연된 작품은 이후 100년 이상 공연되면서 발레단마다 채택하는 안무나 결말이 제각각인 점도 독특하다. 해피엔딩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유니버설발레단은 비극에 가까운 결말을 택했다. 관객의 몰입을 이끄는 감정 연기가 특히 중요한 이유다.

심킨은 유니버설 버전에 꼭 맞는 지그프리드를 연기하며 작품의 완성도를 한 차원 끌어올렸다. 넘침도 모자람도 없는 정확한 춤과 깊이 있는 감정 연기는 과연 월드 클래스라는 감탄사를 자아냈다. 사실 ‘백조의 호수’는 지그프리드 왕자를 연기하는 발레리노보다 순백의 오데트와 요염한 오딜이라는 상반된 매력의 1인 2역을 연기해야 하는 발레리나가 더 주목을 받는 작품이다. 심킨은 자신이 주역인 장면뿐 아니라 배경이 되는 장면에서도 열정을 다하며 관객의 몰입을 이끌어냈다. 눈빛과 표정, 손짓 등 모든 순간이 지그프리드 그 자체였다.



백조의 호수 2막의 공연 모습 ⓒUniversal Ballet_Photo by Lyeowon Kim


3연속 540도 회전을 구사하는 세계 유일의 테크니션으로 이름 높은 무용수지만 이날 무대에서는 과시보다 절제를 선택한 점도 완성도를 높인 지점이다. 심킨은 앞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백조의 호수’는 테크닉을 전면에 내세우기 보다는 절제하는 것이 훨씬 중요한 작품”이라며 “왕자의 감정과 서사룰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관건이며 테크닉은 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드러나는 실력은 매순간 시선을 사로잡았다. 높고 가벼운, 흔들림 없이 안정된 점프는 관객들을 매혹시켰다. 특히 2막 1장 궁중 무도회장에서 흑조 오딜과 지그프리드 왕자가 펼친 그랑 파드되는 공연의 하이라이트로 박수 갈채가 쏟아졌다. 직전 무대에서 순백의 가녀린 오데트를 연기한 홍향기 역시 치명적 매력을 발산하는 흑조 오딜로 변신해 32회전 푸에테를 완벽하게 소화했다. 두 사람은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 존재감을 자랑하며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는 매혹적 무대를 완성했다.

백조의 호수 2막 1장에서 그랑파드되를 추고 있는 다닐 심킨과 홍향기 ⓒUniversal Ballet_Photo by Lyeowon Kim


두 스타 무용수의 역할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발레단 전체가 만들어낸 앙상블이 없었다면 만족도가 떨어졌을 테다. 악마 로트바르트의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는 관객을 긴장시켰고 어릿광대의 고난도 기교, 솔로이스트들의 3인무와 민속춤 등 화려한 볼거리가 흥겨움을 더했다. 특히 두 차례 등장하는 백조의 군무는 ‘발레 블랑’의 정수를 보여주며 작품 전체의 질을 끌어올렸다. 김성진이 지휘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연주도 무대의 완성도를 높인 핵심 요소였다. 교향악의 풍성한 소리에서 뻗어 나오는 날카로운 현악 선율은 무용수들의 절제된 몸짓과 어우러지며 관객들의 감정을 절정으로 이끌었다. 공연은 27일까지 열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