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공회의소가 고용노동부, 광주광역시 등과 함께 추진 중인 가전산업 공동이용시설 개선 지원사업 1차 수혜기업 선정이 완료됐다. 이 사업은 ‘가전내일청년 특화 지원사업’ 일환으로, 가전기업의 고용환경 개선을 통해 청년 근로자들의 근속 유지·지역 정착을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지원 대상은 올해 신규 청년을 채용한 광주광역시 소재 300인 미만 가전산업 관련 제조기업으로 화장실, 식당, 휴게실 등 근로자 공동이용시설 개·보수 비용을 기업당 1000만 원까지 지원하는 등 차별화된 기업서비스를 펼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광주상공회의소 3층 회의실에서는 24일 이번 사업과 관련 1차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는 1차 수혜기업으로 선정된 광주지역 가전기업 7개사 임직원 및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사업내용 안내와 함께 기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전은영 광주상공회의소 협력사업본부 본부장은 “청년들에게 근로환경은 급여수준 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라며 “일터를 가꾸고 개선하는 이러한 과정들이 유망한 청년인재들을 지역에 정착시키고, 그들이 지역 경제의 성장을 이끌어가는 선순환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상공회의소는 ‘가전내일청년 특화 지원사업’ 중 안전워크업 지원사업과 ‘공동이용시설 개선 지원사업, 고용환경 개선 지원사업에 대해 2차 참여기업 모집을 진행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