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이 경찰 착용 기록 장치(보디캠) 1만4000대를 현장 경찰관에 연내 보급하기로 했다.
경찰청은 23일 '경찰보디캠 도입 사업 착수보고회(KT 컨소시엄)’를 열고 오는 2029년까지 5년간 194억 8600만원을 투입해 보디캠을 보급·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보급 대상은 지역경찰, 교통, 기동순찰대 등 현장경찰관 1만4000명이다. 이는 지난해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으로 보디캠이 정식 경찰장비로 규정됨에 따라 이뤄지는 최초 사례다.
그동안 경찰관들은 증거 수집과 자기 보호를 위해 사비로 보디캠을 구매해왔다. 경찰관이 개인적으로 쓰던 보디캠은 올해 3월 기준 2000여대에 달한다. 하지만 상용화된 보디캠은 분실·도난·위변조 방지 기능이 미비한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른 사생활 침해·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꾸준하게 지적됐다.
경찰청은 이번 보디캠 도입으로 현장 경찰관들의 개인 부담이 해소되고 상용 제품의 해킹, 영상 위변조 등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촬영된 영상은 무선 중계기를 통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으로 직접 전송돼 영상 임의 삭제나 유출이 방지된다. 촬영 즉시 암호화 처리된 영상은 유출 시에도 재생할 수 없도록 설계됐다.
경찰관은 보디캠 사용 시 불빛·소리 등으로 촬영 사실을 반드시 알릴 예정이다. 촬영된 영상·음성 기록은 수집일로부터 30일 보관 후 자동 삭제된다.
경찰청은 향후 단계적으로 보디캠 영상 데이터를 치안 정책에도 활용할 방침이다. AI를 활용한 중요 사건정보 추출, 안면인식, 딥페이크 식별 등의 기술도 구축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보디캠을 공식 도입해 증거의 질을 높이는 한편 공권력 남용으로 인한 시민 권리 침해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